ℹ️ 일부는 이전에 학습하였던 것이 더 도움될 것으로 판단하여, 이전 게시물로 대체함
ℹ️ 현재는 소유권이 변경되어 TLS가 정식명칭이지만, 여전히 SSL이라고도 불리고 있음
SSL/TLS -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헤더에 담아서 서버와 통신하는 프로토콜
암호화 프로토콜이 중요/필요한 이유
SSL 인증서의 유형
SSL/TLS 핸드셰이크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안전한 통신을 주고 받는 프로세스
핸드셰이크 발생 시기 - API 호출, DNS 쿼리를 포함하는 HTTPS를 사용할 때 발생
핸드셰이크 과정에서 발생 되는 일
핸드셰이크 발생 단계
HTTP vs 웹 소켓
웹 소켓 사용 시기 - 실시간 업데이트를 주로하는 어플리케이션
ℹ️ 다만, 계속 연결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HTTP를 사용하면 됨
<!DOCTYPE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여기에 웹페이지 제목을 적을 수 있어요.</title>
<!-- 스타일이 들어있는 파일로 적용하기 위해, style.css를 넣는 방법-->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style>
a {
color : green;
text-decoration: none;
}
</style>
</head>
<body>
<!--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동적인 웹페이지를 구성할 수도 있음 -->
<input type="button" value="dark" onclick = "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backgroundColor='black';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color='white';
">
<input type="button" value="white" onclick = "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backgroundColor='white';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color='black';
">
<!-- 제목 태그 -->
<h1> 제목으로서 구획된 글자를 적을 수 있어요. 이건 h1 이에요.</h1>
<h2> 제목으로서 구획된 글자를 적을 수 있어요. 이건 h2 이에요.</h2>
<h3> 제목으로서 구획된 글자를 적을 수 있어요. 이건 h3 이에요.</h3>
<h4> 제목으로서 구획된 글자를 적을 수 있어요. 이건 h4 이에요.</h4>
<h5> 제목으로서 구획된 글자를 적을 수 있어요. 이건 h5 이에요.</h5>
<h6> 제목으로서 구획된 글자를 적을 수 있어요. 이건 h6 이에요.</h6>
<!-- 글자 속성 태그-->
<strong> 이 글자는 굵어져요. </strong>
<br><br>
<u> 글자 밑에 밑줄이 생겨요. </u>
<br><br><br> br 태그로 줄 바꿈을 할 수 있어요. <br><br><br>
<!-- 단락 태그 -->
<p> 구획된 단락을 표현할 수 있어요. 첫 번째 단락이에요. (국가는 모성의 보호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국가는 평생교육을 진흥하여야 한다. 의원을 제명하려면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대통령은 국무총리·국무위원·행정각부의 장 기타 법률이 정하는 공사의 직을 겸할 수 없다.)</p>
<p> 구획된 단락을 표현할 수 있어요. 두 번째 단락이에요. (연소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국회의원은 국가이익을 우선하여 양심에 따라 직무를 행한다. 국회는 법률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 의사와 내부규율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 감사원의 조직·직무범위·감사위원의 자격·감사대상공무원의 범위 기타 필요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p>
<!-- 이미지 태그 -->
<img src="https://encrypted-tbn0.gstatic.com/images?q=tbn:ANd9GcQn4_cfe_ZM15Cs0umK3rwc2S-Ema9moqKvqg&s" width="400">
<br><br>
<a href="https://www.google.co.kr/?hl=ko">img 태그로 이미지를 넣을 수도 있어요. a 태그로 하이퍼링크를 만들 수도 있어요.</a>
<!-- 순서 태그 -->
<ol>
<li> 순서가 있는 목록이에요. 앞에 숫자가 붙어요. </li>
<li> 순서가 있는 목록이에요. 앞에 숫자가 붙어요. </li>
<li> 순서가 있는 목록이에요. 앞에 숫자가 붙어요. </li>
</ol>
<ul>
<li> 순서가 없는 목록이에요. 앞에 불릿이 붙어요. </li>
<li> 순서가 없는 목록이에요. 앞에 불릿이 붙어요. </li>
<li> 순서가 없는 목록이에요. 앞에 불릿이 붙어요. </li>
</ul>
</body>
이번주에는 간단한 네트워크 지식과 웹을 만드는 기술인 HTML, CSS, JS를 배우고, 실습하였다.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식과 HTML,CSS,JS는 이미 내가 배웠던 것이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배웠던 것을 다시 상기시키게 되었다. 그렇지만, 새로 배우게 된 것도 있다. 바로 '웹 소켓'이다. 이것을 배우기 전에는 HTTP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알았는지라 "분명 연결을 하고나서 응답을 받으면 연결이 끊어질 것인데, 게임은 이 과정을 수백번, 수만번 하는건가?"라고 궁금증이 들기도 했다. 그러한 궁금증을 해결해준 '웹 소켓'에 대해 배워서 좋은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