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부 스타일시트는 html 문서안에 <style>태그를 이용해 css를 문서 내부에 작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외부 스타일시트보다 우선순위가 높지만, html에 css속성들이 너무 많이 작성되어 파일길이가 길어지면 유지보수가 더 어렵기 때문에 외부 스타일시트에 주로 사용한다.
외부 스타일시트는 css라는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css파일을 따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외부 스타일시트로 관리하면 관련된 파일을 찾기 편하고 유지보수에 훨씬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외부 스타일시트는 내부 스타일시트에 비해 우선순위가 낮다.
인라인시트는 태그에 style이라는 속성으로 직접적으로 스타일을 적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내부 스타일시트보다 우선순위가 높아 태그에 직접 적용한 스타일이 절대적으로 적용된다.
인라인스타일은 가독성이 떨어지고 우선순위가 높아 수정하기가 어려우므로 사용되지 않는다.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시트는 브라우저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스타일시트를 말한다.
h1이나 ul, li등등 태그를 출력했을때 보이는 이 특징들은 모두 브라우저 안에 있는 기본 스타일시트가 적용되어 보이는 디자인이다.
보통 웹페이지를 만들때에는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시트를 '초기화'하여 사용한다.
!important : 특정 속성의 속성값 뒤에 선언하여 사용한다.
어떤 스타일시트 또는 어떤 선택자보다도 우선 순위가 가장 높다.
important가 적용된 속성은 다시 수정할 수 없으며, 강제로 해당 속성을 적용한다.
즉,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조심히 사용해야하는 속성.
ex)선택자{ 속성명 : 속성값 !important ; }

===========<기본형>===========
선택자{
속성명1 : 속성값1 ;
속성명2 : 속성값2 ;
속성명3 : 속성값3 ;
}
==========+======+==========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css 적용해보기</title>
<!-- css -->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head>
<body>
<h1 style="color:burlywood;">안녕하세요.</h1>
<h2 class="title">제목2</h2>
<h2 class="title" id="logo">제목3</h2>
<h2 class="title">제목4</h2>
<h3>color : 글자 색상</h3>
<h4>font-family : 글꼴</h4>
<h5>font-size: 글자 크기</h5>
<h6>font-style: 글자 스타일</h6>
</body>
</html>
/*=== html 페이지에서 연결할 외부 css 파일 === */
@charset "utf-8"; /* 언어 인코딩 모듈*/
/* 전체 선택자 : * */
*{
margin: 0; /*바깥쪽 여백*/
padding: 0; /*안쪽 여백*/
}
/* 태그명 선택자 */
body{
color :rgb(173, 216, 230);
}
h1{
color:brown;
}
/* id 선택자 : #id */
#logo{
color : violet;
}
/* calss 선택자 : .class */
.title{
color:green ;
}
h2{
color:red ; /* 글자색 */
}
/* group 선택자 */
p,span{
color:cadetblue;
}
h3{
color:lightslategray;
color:#00f; /* #000 = #000000 */
color:rgb(32, 54, 77) ;
}
h4{
font-family:'Arial',sans-serif;
font-family:'Franklin Gothic Medium', 'Arial Narrow', Arial, sans-serif ;
/* 1번째 폰트가 없을 경우 후보로 보여질 폰트를 보여줌 */
}
h5{
font-size:24px; /* px:고정단위 */
font-size:2em; /* em:상대단위 (1em=16px) */
font-size:5vw; /* vw:상대단위 (뷰포트 기준), 반응형 할 때 많이 사용*/
}
h6{
font-style: italic;
font-style: obliqu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