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64] 이상한 기호

sky·2022년 8월 5일
0

BaekJoon Online Judge(B)

목록 보기
57/98
post-thumbnail

문제

Bronze Ⅴ

부산일과학고등학교의 효진이는 수학의 귀재이다. 어떤 문제라도 보면 1분 내에 풀어버린다는 학교의 전설이 내려올 정도였는데, 이런 킹ㅡ갓 효진에게도 고민이 생겼다. 대부분의 문제에서 반복되는 연산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연산은 너무 길어서 종이에 풀던 효진이는 너무 고통스러워서, 자신이 새로 연산자를 만들기로 했다.

연산자의 기호는 @으로, A@B = (A+B)×(A-B)으로 정의내리기로 했다.
하지만, 효진이는 막상 큰 숫자가 들어오자 계산하기 너무 귀찮아졌다.
효진이를 도와 정수 A, B가 주어지면 A@B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자!

입력
첫째 줄에 A, B가 주어진다. (1 ≤ A, B ≤ 100,000)

출력
첫째 줄에 A@B의 결과를 출력한다.

서브태스크란?
문제의 출제자가 데이터를 그룹 지어 놓습니다. 각 그룹을 서브태스크라고 합니다. 기준은 출제자가 정하고, 이 내용은 문제에 적혀져 있습니다. 각 서브태스크는 배점을 가지고 있고, 문제의 총점은 서브태스크의 배점의 합과 같습니다.


Solution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long long A, B;
    cin >> A >> B;
    cout << (A+B)*(A-B);
    return 0;
}

주의할 점은 자료형이다. int형으로 할 경우 30점밖에 주지 않는다. A, B의 길이가 최대 100,000이라서 계산을 하다보면 매우 길어지기 때문에 자료형을 int보단 긴 long long형을 이용한다. (long으로 해도 100점이다.)

Python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a-b))

Total Time

  • 2022-08-04 | 22:23 - 22:30 what is subtask???????????
  • 2022-08-05 | 14:20 - 14:27 Success!

Review
간단한 문제를 바로 못 푼 이유는 '@'라는 기호를 직접 써야 하는 줄 알았어서 아스키코드까지 검색하면서 고민했다. 몇 분 고민을 안 하긴 했지만..

profile
개발자가 되고 싶은 1人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