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사용할 때 DB도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서버를 배포하는 입장에서 DB는 거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AWS에서 DB의 역할을 어떤것이 하는지,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정리해 보았다.
아마존 RDS는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분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AWS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 RDS 내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를 지원해준다.
AWS에서 DB를 사용할 때 RDS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EC2 인스턴스에 DB를 다운받아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비용적인 면에서는 EC2에 DB를 다운받아 쓰는 것이 더 저렴하다.
하지만 RDS를 쓰면 보다 더 빠른 배포가 가능하며, 유지보수 및 속도 측면에서는 더 우세하다.
먼저 AWS에서 RDS에 접속한다.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화면에서 좌측에 데이터베이스를 눌러 들어간다.
데이터베이스를 눌러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이 화면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눌러 RDS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누르면 맨 처음에 생성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표준 생성은 말 그대로 사람들이 많이 생성하는 방식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손쉬운 생성은 기본 틀만 제공하고 나머지를 직접 설정해야 한다.
설정하는 것은 생성 이후에 변경할 수 있다.
엔진 옵션은 말 그대로 어떤 DB로 생성을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자신이 원하는 DB를 선택하면 된다.
MySQL을 선택할 경우, 밑에서 버전도 같이 선택이 가능하다.
템플릿은 상황에 맞게 고르면 된다.
현재 프리 티어를 사용 중이라면 프리티어가 나을 것이다.
DB 인스턴스 식별자는 인스턴스가 생성이 되었을 때 목록에 표시될 이름이다.
생성한 후에 데이터베이스 화면으로 넘어갔을 때 확인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DB에 접속할 때 필요한 username, 마스터 암호는 DB 접속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의미한다.
인스턴스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db.t2.micro를 누르면 선택할 수 있는 인스턴스의 크기 리스트가 나오게 된다.
프리티어의 경우, db.t2.micro만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VPC와 서브넷을 지정해줄 수 있다.
이전에 설정한 것이 있다면 설정한 값으로 지정해주면 되고, 그렇지 않다면 default로 설정해두면 된다.
퍼블릭 엑세스 가능의 경우 로컬에서 테스트를 하려면 예를 선택해야 하고 그렇지 않고 그냥 배포하는 경우라면 아니요를 선택하면 된다.
암호 및 IAM 데이터베이스 인증이 뭔지를 몰라서 필자의 경우 암호 인증만 선택한 후 넘어갔다.
백업의 경우는 자유롭게 설정하면 될 것이다.
모든 설정을 다 하였다면 이 곳에 한 달에 사용될 예상 비용이 나오게 된다.
월별 추정 요금을 확인 후 가격을 줄여야 한다면 인스턴스 크기를 줄이면 될 것이다.
모든 설정을 다 마쳤다면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눌러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된다.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며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성이 완료되면 생성한 인스턴스 클릭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화면에서 좌측 하단에 엔드포인트가 DB 접속 경로이고, 포트가 DB 접속 포트 번호가 된다.
기존에 로컬에서 테스트 할 때 localhost:3306으로 접속했다면, 이제 엔드포인트값:3306으로 RDS에 접속이 가능하다.
물론 3306포트는 EC2의 인바인드 규칙에서 MySQL을 추가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