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프로젝트_github로 코드공유 환경설정 단계

J.H.H.·2021년 9월 28일
0
post-thumbnail

환경설정이 팀원들을 이렇게 괴롭힐 줄 몰랐다. 생각보다 여러 부분에서 다양하게 헤메고 있는데, 그건 나 역시 마찬가지이다.

처음 git push origin 내브랜치이름 이 식이 pycham Terminal에서 계속 error와 함께 튕겼다. master 계정이 collaborator를 초대해줘야 한다는 것을 구글링을 통해 알았고, 내 선에서는 해결할 수 없음을 알았다. 새벽 1시 일단 git 관련 일은 내일하기로 했다.

아침 master 계정이 이메일로 초대장을 발송했고 invite를 수령하고 나서는 순조롭게 push/pull이 이뤄졌다.

팀원의 입장에서 git 팀프로젝트 환경에 처음 참여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master 계정의 invite를 받는다.

  2. Git Bash를 통해 기본 설정을 한다
    1.1 $ git clone 공유팀페이지로부터따온code 원하는파일명
    1.2 $ cd 파일명
    1.3 $ ls (연 파일 안에 파일 및 폴더들 확인)
    1.4 $ pwd (컴퓨터 내 클론 파일 위치확인)

  3. pycham을 통해 클론파일 오픈
    2.1 내용 입력 (내가 일할 부분 일한 후)
    2.2 $ git init (처음 git 입력시에만)
    2.3 $ git checkout -b 설정하고자는브랜치이름 (branch 처음 팔 경우에만 실행)
    2.4 $ git add . (주의: add 뒤 한 칸 띄고 . 찍기)
    2.5 $ git commit -m "입력하고자는commit" (주의: 반드시 "" 찍어)
    2.6 $ git push origin 설정한브랜치이름
    2.6.1 (만약 push가 제대로 실핼되지 않을 경우) $ git push origin +설정한브랜치이름 (주의: 여기서 +기호는 강제설정 기호로 작용한다)
    2.7 팀프로젝트가 이뤄지는 github 를 새로고침하면 compare & pull request 라는 초록 버튼 뜸
    2.8 버튼 누르고 들어가 고쳐진 내용에 대한 설명 및 요청하는 사항 등 메모 및 코멘트 남긴다.

    여기까지다.

이후 마스터 파일에서 소스코드를 당겨오고 싶다면 pycham terminal에서 git pull origin master 입력하면 된다.

github를 한 번도 사용해보지 못한 사람도 하루만에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다. 새로 시작하는 모두 너무 걱정하지 말길 (내 자신에 보내는 응원이기도 하다)

profile
코린이를 넘어 데이터 시각화를 휘두르는(?) 그날까지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