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한 내용


먼저, 처음 python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터미널]로 들어가 cd python 이라고 경로를 지정해준다.
Javascript에서 console.log();로 출력했던 것을 Python에서는 print()로 출력이 가능하다.
※세미콜론(;)은 넣지 않는다.※
제대로 코드를 작성한지 알고싶다면, python 뒤에 파일이름을 타이핑해서 검색한다.

창이 좁아 모두 보여지진 않았지만 내가 print한 내용이 터미널에 그대로 나타난다.
python에서 줄바꿈은 ''' ''' or """ """
3개씩 써서 줄바꿈한다.
import는 모듈을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
배열은 [] 대괄호로 묶어준다.

변수에 이름을 붙여 가독성을 높였다.
f'{}' 를 쓰면 바뀌어야하는 부분에 배열에 적힌 내용을 불러온다.

아까의 내용을 토대로 제곱미터를 넣어 직접 평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만들어보았다. 우리에겐 평수가 일반적으로 쓰이지만 일본식 단위로 우리나라와 일본만 쓴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평수로 적는것이 금지되고 제곱미터를 무조건 쓰게 되어있는데, 이유는 평수는 정확하지 않다는 이유다. 그래서 감이 없는 제곱미터를 이용해 평수를 계산하기 좋게 만들어보았다.

pip install pandas 라고 입력하여 pandas를 다운받고, 유명한 보스턴 집값이라는 csv파일을 이용해 터미널에서 가독성좋게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print(house)만 쳤을 땐 모든 값이 나왔고,
print(house.head())를 치면 앞 0 1 2 3 4의 표가 뜨고,
print(house.head(1))을 치면 첫번째 표만 보여주며,
print(house.describe())를 치면 주제별로 표를 보여준다.

python의 boolean에 대해 알아보았다.
python은 javascript와 다르게 = 표시를 두 번만 한다.

python은 javascript와 다르게 if문에서 (),{}가 없다. 조건을 쓰고 콜론(:)으로 적고 줄바꿔서 tab키로 줄을 맞춰 출력할 내용을 묶는다.

배열을 만들어서 반복문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사전형으로 만들고 싶다면,
배열이름 = [{'설명':'배열','설명':'배열'}] 이렇게 쭉 열거한다.

def로 함수를 선언하고 return을 설정해 print롤 값을 출력했다.

학습한 내용 중 어려웠던 점 또는 해결못한 것들

강사님이랑 할 땐 잘 따라가고 실행도 잘 되는데, 혼자만 됐다하면 버벅대고 너무 어렵다.

해결방법 작성

모르는 부분을 구글링하고, 영상을 복습을 한다.

학습 소감

열심히 따라갔다. 아직까진 재미있고 흥미롭다.

profile
성장하는 developer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