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C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 애플리케이션을 세 가지 역할로 구분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사용자가 Controller를 조작하면 Controller는 Model을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View를 통해 시각적 표현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패턴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시작적 요소나 그 이면에서 실행되는 비즈니스 로직을 서로 영향 없이 쉽게 고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웹브라우저 사용자의 요청을 서블릿이 받고 서블릿은 해당 요청으로 View로 보여줄 것인지 Model로 보낼 것인지를 판단하여 전송합니다. 또한 HTML 소스와 JAVA소스를 분리해놓았기 때문에 확장시키기도 쉽고 유지보수 또한 쉽습니다.
모델(Model)은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데이타베이스, 처음의 정의하는 상수, 초기화 값, 변수 등을 뜻합니다.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 후 모델의 변경사항을 컨트롤러와 뷰에 전달합니다.
데이터를 가진 객체를 모델이라고 지칭합니다. 데이터는 내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도 있고, 모델을 표현하는 이름 속성으로 가질 수 있습니다. 모델의 상태에 변화가 있을 때 컨트롤러와 뷰에 이를 통보합니다. 이와 같은 통보를 통해 뷰는 최신의 결과를 보여줄 수 있고, 컨트롤러는 모델의 변화에 따른 적용 가능한 명령을 추가, 제거, 수정할 수 있습니다.
<모델의 규칙>
MVC 패턴은 여러 개의 뷰(View)가 존재할 수 있으며, 모델에게 질의하여 데이터를 전달받습니다. 뷰는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델에게 전달받은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아야 합니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게 되면 모델에게 전달하여 모델을 변경해야 합니다.
View는 클라이언트 측 기술은 HTML/CSS/Javascript들을 모와둔 컨테이너입니다. 사용자가 볼 결과물을 생성하기 위해 모델로부터 정보를 얻어옵니다.
모델이나 뷰는 서로의 존재를 모르고 있습니다. 변경 사항을 외부로 알리고 수신하는 방법만 있습니다. 컨트롤러(Controller)는 이를 중재하기 위해 모델과 뷰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모델이나 뷰로부터 변경 내용을 통지 받으면 이를 각 구성 요소에게 통지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발생하는 변경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용자가 접근한 URL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사항을 파악한 후에 그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Model을 의뢰하고, 데이터를 View에 반영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줍니다.
모델에 명령을 보냄으로써 뷰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음
컨트롤러가 관련된 모델에 명령을 보냄으로써 뷰의 표시 방법을 바꿀 수 있음
<컨트롤러의 규칙>
MVC패턴에서 View는 Controller에 연결되어 화면을 구성하는 단위 요소이므로 다수의 View를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Model은 Controller를 통해서 View와 연결되지만, Controller에 의해서 하나의 View에 연결될 수 있는 Model도 여러 개가 될 수 있어 View와 Model이 서로 의존성을 띄게 됩니다. 즉, Controller에 다수의 Model과 View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