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JS with Codeit</title>
</head>
<body>
<div id="content">
<h2 id="title-1">Cat-1</h2>
<ul id="list-1">
<li>Ragdoll</li>
<li>British Shorthair</li>
<li>Scottish Fold</li>
<li>Bengal</li>
<li>Siamese</li>
<li>Maine Coon</li>
<li>American Shorthair</li>
<li>Russian Blue</li>
</ul>
<h2 id="title-2">Cat-2</h2>
<ul id="list-2">
<li>Sphynx</li>
<li>Munchkin</li>
<li>Persian</li>
<li>Norwegian Forset</li>
<li>Turkish Angora</li>
<li>Bombay</li>
<li>Selkirk Rex</li>
<li>Munchkin</li>
</ul>
</div>
<script src="index.js"></script>
</body>
</html>
const myTag = document.querySelector("#list-1");
console.log(myTag);
// 부모 요소 노드
console.log(myTag.parentElement);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JS with Codeit</title>
</head>
<body>
<div id="content">
<h2 id="title-1">Cat-1</h2>
<ul id="list-1">
<li>Ragdoll</li>
<li>British Shorthair</li>
<li>Scottish Fold</li>
<li>Bengal</li>
<li>Siamese</li>
<li>Maine Coon</li>
<li>American Shorthair</li>
<li>Russian Blue</li>
</ul>
<h2 id="title-2">Cat-2</h2>
<ul id="list-2">
<li>Sphynx</li>
<li>Munchkin</li>
<li>Persian</li>
<li>Norwegian Forset</li>
<li>Turkish Angora</li>
<li>Bombay</li>
<li>Selkirk Rex</li>
<li>Munchkin</li>
</ul>
</div>
<script src="index.js"></script>
</body>
</html>
const myTag = document.querySelector("#list-1");
console.log(myTag);
// 자식 요소 노드
console.log(myTag.children[1]);
console.log(myTag.firstElementChild);
console.log(myTag.lastElementChild);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JS with Codeit</title>
</head>
<body>
<div id="content">
<h2 id="title-1">Cat-1</h2>
<ul id="list-1">
<li>Ragdoll</li>
<li>British Shorthair</li>
<li>Scottish Fold</li>
<li>Bengal</li>
<li>Siamese</li>
<li>Maine Coon</li>
<li>American Shorthair</li>
<li>Russian Blue</li>
</ul>
<h2 id="title-2">Cat-2</h2>
<ul id="list-2">
<li>Sphynx</li>
<li>Munchkin</li>
<li>Persian</li>
<li>Norwegian Forset</li>
<li>Turkish Angora</li>
<li>Bombay</li>
<li>Selkirk Rex</li>
<li>Munchkin</li>
</ul>
</div>
<script src="index.js"></script>
</body>
</html>
const myTag = document.querySelector("#list-1");
console.log(myTag);
// 형제 요소 노드
console.log(myTag.previousElementSibling);
console.log(myTag.nextElementSibling);
프로퍼티 | 유형 | 결과 |
---|---|---|
element.children | 자식 요소 노드 | element의 자식 요소 모음(HTMLCollection) |
element.firstElementChild | 자식 요소 노드 | element의 첫 번째 자식 요소 하나 |
element.lastElementChild | 자식 요소 노드 | element의 마지막 자식 요소 하나 |
element.parentElement | 부모 요소 노드 | element의 부모 요소 하나 |
element.previousElementSibling | 형제 요소 노드 | element의 이전(previous) 혹은 좌측(left)에 있는 요소 하나 |
element.nextElementSibling | 형제 요소 노드 | element의 다음(next) 혹은 우측(right)에 있는 요소 하나 |
배웠던 그대로 이 프로퍼티들은 노드 중에서도 '요소 노드'인 경우에만 존재하는 프로퍼티들입니다.
그럼 요소 노드 말고 텍스트 노드에 접근하고 싶을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만약 요소 노드가 아닌 다른 노드들을 이동하고 싶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프로퍼티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프로퍼티 | 유형 | 결과 |
---|---|---|
node.childNodes | 자식 노드 | node의 자식 노드 모음(NodeList) |
node.firstChild | 자식 노드 | node의 첫 번째 자식 노드 하나 |
node.lastChild | 자식 노드 | node의 마지막 자식 노드 하나 |
node.parentNode | 부모 노드 | node의 부모 요소 하나 |
node.previousSibling | 형제 노드 | node의 이전(previous) 혹은 좌측(left)에 있는 노드 하나 |
node.nextSibling | 형제 노드 | node의 다음(next) 혹은 우측(right)에 있는 노드 하나 |
대부분 요소 노드의 프로퍼티 이름에서 Element라는 단어만 빠진 것 같은데요.
사실 모든 노드가 공통적으로 갖고있는 이 프로퍼티들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자주 사용되진 않습니다.
그 이유는 DOM 트리가 만들어질 때 생겨나는 노드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알 수 있는데요.
브라우저가 HTML 코드를 해석할 때 각 코드들은 상황에 맞게 node를 생성하고 DOM 트리를 구성하는데,
HTML 태그는 요소 노드가 되고,
문자들은 텍스트 노드,
그리고 주석도 주석 노드로 DOM 트리에 반영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head>
<body>
I Love JavaScript
<!-- I Love Codeit -->
</body>
</html>
예를 들어 이런 코드는 아래와 같이 DOM 트리를 구성하게 되는데요.
그런데 텍스트 노드 중에서 붉은 테두리가 있는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듯 태그와 태그사이에 줄 바꿈과 들여쓰기로 인한 띄어쓰기도 텍스트 노드(Text라고 표시된 부분)로 생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예시는 간단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DOM 트리를 예상할 수 있지만, 조금만 더 코드가 복잡하거나 혹은 코드의 스타일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런 줄 바꿈과 들여쓰기로 인해 생성된 텍스트 노드의 존재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금 본, 모든 노드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프로퍼티를 활용한다면, 예상치 못한 텍스트 노드를 선택하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만들어 낼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다루고자 하는 대상은 태그!
자바스크립트로 웹 문서를 다룰 때는 아무래도 텍스트 노드보다는 요소 노드를 다룰 경우가 더 많을 겁니다.
만약 여러분이 의도하는 대상이 HTML 태그라면 요소 노드에 대한 이동 프로퍼티를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안전하겠죠?
그래도 상황에 따라서는 요소 노드가 아닌 노드들을 이동시켜야할 수도 있으니 모든 노드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속성들도 잘 기억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