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 Microsoft Azure 1일차

hanss·2022년 4월 19일
0

학습 내용

Cloud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

고가용성, 확장성, 탄력성, 민첩성, 내결함성, 재해복구, 글로벌 서비스, 보안성, 예상 운용성, 기술 요구사항에 On-premises보다 장점을 가지고 있다.

=> Cloud는 최신 보안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쉽고 빠르게 증량할 수 있다.
Cloud 회사에서 이미 구축해놓은 Resion으로 자연재해에 대비하거나 해외서비스에 필요한 별도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 On-premises : 직접 서버를 관리하는 방식
  • Resion : 데이터 센터가 묶여있는 지역, 두 개 이상이 포함되어 있음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공용 클라우드(public cloud) :
    : 대부분의 자원들을 함께 사용한다
    ex) azure, aws 등등

  •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
    : 회사 안에다가 서버를 직접 구축해서 쓰는 것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회사 안에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만들고
    연말이나 월말에 업무가 몰릴 때
    필요할 때마다 public cloud를 연결해서 같이 사용하는 방식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 On-premises
    Networking 부터 Data까지의 과정을 직접 구성해야된다
  • IaaS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버, 가상화를 제공해준다.
    직접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한 운영체계이며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형태이다.
    하지만 여전히 관리해야될 것이 많아 Cloud 시장이 점점 PasS나 SaaS로 변화하고 있다.
  • PaaS
    플랫폼을 제공한다.
    운영체제, 플랫폼 관리 및 업데이트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되고
    data와 application만 신경 쓰면 된다.
    단점은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것만큼 직접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일반화된 서비스라면 SaaS를 써도 상관없지만 특별화된 서비스는 IasS를 써야 할 수도 있다.
  • SaaS
    data만 관리하면 된다.
    주로 구독형이 이에 해당한다.
    ex) Office 365, 포토샵 구독 서비스

Azure 서비스

세계 여러 나라에 Region이 있다.
하나의 Region 안에 두 개 이상의 데이터센터가 묶여 있으며 데이터 센터는 물리적인 재해에 대비해 최소 30km 이상 떨어져 있다.
같은 Region 안에 있는 데이터 센터는 상호보완하고 있다.

지역(Region)

전세계 66개 지역 140개 국가에서 사용 가능하며
우리나라 같은 경우 2017년에 들어왔다
Korea Central(서울), Korea South(부산)
Region 간에도 서로 묶여 있어 필요시에 서로 상호보완 할 수 있다.

Azure Resource Manager

  • Azure Portal
    브라우저에서 마우스로 조작해서 구축하는 것

  • Azure PowerShell
    - Bash shell : 공통적으로 쓸 수 있다
    - Power Shell : ms 환경에서 사용한다
    Azure Portal에서 사용 가능

  • Azure CLI(comand line interface)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학습 후기

오늘은 Cloud를 사용할 때의 장점과 서비스 유형, 그리고 Azure cloud를 배웠다.
이쪽 분야가 아닌 사람들도 교양으로 들어도 좋을만큼 내용이 알찼다.
cloud가 무엇인지는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와 서비스들이 각각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게 되어 매우 유익했다.
그리고 이번 시간이 아니면 배우기 어려웠을 Azure를 사용해보게 되서 좋았다. Azure 사용법은 다음 글에서 다시 정리할 예정이다.

profile
열심히 하는 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