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로젝트에서 Node.js를 사용하여 WebSocket 서버를 구축하는 도중, 이상한 오류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WebSocket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서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았고, 결국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과정을
백엔드 개발 중 relation "user" does not exist 오류를 만났습니다. PostgreSQL에서는 대소문자나 스키마 이름 등 세부 사항이 쿼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를 시도해보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제의 원인과 해결
로그인 api를 구현한 후 테스트만을 위해 비밀번호를 임의로 11111111로 db에 저장하고 테스트해보았는데, 비밀번호를 제대로 입력했음에도 자꾸 틀린 비밀번호라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bcrypt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였는데, 이 문제 해결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
ESLint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no-restricted-syntax: for...of 반복문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경고 no-await-in-loop: 반복문 내에서 await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경고 이 오류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
개발 중 WebSocket 서버와 HTTP 서버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WebSocket connection to 'ws://localhost:3001/' failed: 진짜 하루 종일 붙잡고 있었기에 정말 많은 시도를 해보았습니다….웹 소켓을 사
이번에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지도와 캔버스를 함께 움직이는 프로젝트라 마우스 이벤트가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었습니다.애초에 저희 프로젝트는 모바일 서비스로 기획되기도 했고, 마우스 이벤트를 완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보내는 것보다는 모바일로 유도하는 것이 훨씬 낫겠다는
이번에 디자이너, 기획자와 함께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론트엔드부터 백엔드, 클라우드까지 모두 혼자 맡아 개발하는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서비스화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많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디스크 용량 부족 문제였습니다.실사용자가 있는 서비스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캐릭터 이미지를 캔버스 위에 표시하고,휴대폰의 방향에 따라 캐릭터의 발자국 방향도 실시간으로 맞춰야 했습니다.이미지는 사람 모양의 캐릭터였고, 발이 휴대폰의 진행 방향(휴대폰이 가리키는 방향)을 향해야 했습
이 프로젝트는 https://uxpirates.xyz/ 에 대한 내용입니다!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화면은 모달창으로 띄워야하는데, 각 모달창에서 링크 공유를 누르면 링크가 공유되고, 공유된 링크에 접속하면 그 모달창이 그대로 띄워져 있어야 하는 기능을 구현해야 했습
이전 포스팅들에서 언급했듯 저는 https://uxpirates.xyz 이 프로젝트를 풀스택으로 개발하여 서비스 중입니다.물론 배포한 후 실제 서비스를 하고 있긴 하지만 계속해서 기능을 추가하고, QA를 통해 개선해나가고 있던 프로젝트였습니다. 정말 평상시와
회사에서 본격적인 배포 전 ubuntu 머신을 받아 임의의 Ubuntu 환경에서 웹 프로젝트를 실행하려다, 너무 사소하지만 한참을 헤맸던 이슈가 있어 공유해보려 합니다.오류 메시지에서 전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저처럼 pnpm 기반의 프로젝트를 다루고 있는데, Ubun
이전 포스팅과 관련해서 같은 레포인데 Ubuntu 로컬 머신에서만 pnpm install이 실패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로그를 아무리 봐도 모호한 스택 트레이스만 보였고, CI나 macOS에서는 멀쩡히 돌아가서 디버깅 하는 데에 시간을 너무 많이 허비했기에환경에 따라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