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PU스케줄링과 프로세스 관리 CPU 소유권을 어떤 프로세스의 생성과 삭제, 지원 할당 및 반환을 관리한다.
- 메모리 관리 : 한정된 메모리를 어떤 프로세스에 얼마큼 할당해야 하는지 관리한다.
- 디스크 파일 관리 : 디스크 파일을 어떠한 방법으로 보관할지 관리한다.
- I/O 디바이스 관리 : I/O 디바이스들인 마우스, 키보드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관리한다.
GUI, 시스템 호출, 커널, 드라이버 부분을 운영체제라 지칭한다.
운영체제가 커널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펭스이며 유저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커널 함수를 호출할 때 사용한다.
유저 프로그램이 I/O 요청으로 트랩을 발동하면 올바른 I/O 요청인지 확인한 후 유저 모드가 시스템콜을 통해 커널 모드로 변환되어 실행된다.
예로 I/O요청인 fs.readfile()이라는 파일 시스템의 파일을 읽는 함수 발동 시 사용자 모드에서 파일을 읽지 않고 커널 모드로 들어가 파일을 읽고 사이 사용자 모드로 돌아가 그 뒤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로직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컴퓨터 자원에 대한 직접 접근을 차단할 수 있고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위 그림처럼 프로세스나 스레드에서 운영체제로 어떠한 요청을 할 때 시스템콜이라는 인터페이스와 커널을 거쳐 운영체제에 전달된다.
이 시스템콜은 하나의 추상화 계층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이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낮은 단계의 영역 처리에 대한 부분을 많이 신경 쓰지 않고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or 0의 값을 가지는 플래그 변수이며 시스템콜이 작동될 때 modebit을 참고해서 유저 모드와 커널 모드를 구분한다. 카메라, 키보드 등 I/O 디바이스는 운영체제를 통해서만 작동해야한다.
만약 유저 모드를 기반으로 카메라가 작동하면,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공격자가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다.
커널 모드를 거쳐 운영체제를 통해 작동한다고 100% 막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운영체제를 통해 작동하게 해야 막기가 쉽다.
위 그림처럼 유저 프로그램이 카메라 이용 시 시스템콜을 호출 후 modebit을 1에서 0으로 바꾸며 커널 모드로 변경한 후 카메라 자원을 이용한 로직을 수행한다. 그 이후에 modebit을 0에서 1로 바꾸어 유저모드로 변경 후 로직을 수행한다.
- 유저 모드
유저가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을 제한적으로 두며 컴퓨터 자원에 함부러 침범하지 못하는 모드- 커널 모드
모든 컴퓨터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드- 커널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이자 시스템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보안, 메모리, 프로세스, 파일 시스템, I/O디바이스, I/O 요청 관리 등 운영 체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컴퓨터는 CPU, DMA 컨트롤러, 메모리, 타이머, 디바이스 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술논리 연산장치, 제어장치,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인터럽트에 의해 단순히 메모리에 존재하는 명령어를 해석해 실행한다.
프로세스 조작을 지시하는 CPU의 한 부품이다. 입출력장치 간 통신을 제어하고 명령어들을 읽고 해석하며 데이터 처리를 위한 순서를 결정한다.
CPU 안에 있는 매우 빠른 임시기억장치이며 CPU와 직접 연결되어 연산 속도가 메모리보다 수십~수백배 빠르다. CPU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방법이 없어 레지스터를 거쳐 데이터를 전달한다.
덧셈, 뺄셈 같은 두 숫자의 산술 연산과 배타적 논리합, 논리곱 같은 논리 연산을 계산하는 디지털 회로이다.
CPU에서 제어장치, 레지스터, 산술논리연산장치를 통해 연산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어떤 신호가 들어왔을 때 CPU를 잠시 정지한다. 키보드, 마우스 등 IO 디바이스로 인한 인터럽트, 0으로 숫자를 나누는 산술 연산에서의 인터럽트, 프로세스 오류 등으로 발생한다.
인터럽트 발생 시 인터럽트 핸들러 함수가 모여 있는 인터럽트 벡터에서 인터럽트 핸들러 함수가 실행된다. 인터럽트 간에는 우선순위가 있고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되며 인터럽트는 하드웨어 인터럽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두 가지로 나뉜다.
- 인터럽트 핸들러 함수
인터럽트 발생 시 이를 핸들링하기 위한 함수, 커널 내부의 IRQ를 통해 호출되며 requst_irq()를 통해 인터럽트 핸들러 함수를 등록할 수 있다.
키보드 연결 or 마우스 연결 등의 IO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이다.
이때 인터럽트 라인이 설계된 이후 순차적인 인터럽트 실행을 중지하고 운영체제에 시스템 콜을 요청해서 원하는 디바이스로 향해 디바이스에 있는 작은 로컬 버퍼에 접근하여 일을 수행한다.
트랩이라고도 하며 프로세스 오류 등으로 프로세스가 시스템콜을 호출할 때 발동한다.
IO디바이스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뜻한다. CPU에만 너무 많은 인터럽트 요청이 들어오기 때문에 CPU부하를 막아주며 CPU의 일을 부담하는 보조 일꾼이라 보면 된다. 하나의 작업을 CPU와 DMA 컨트롤러가 동시에 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자회로에서 데이터나 상태 명령어 등을 기록하는 장치이며 보통 RAM을 말한다. CPU는 계산, 메모리는 기억을 담당한다.
몇초 안에는 작업이 끝나야 한다는 것을 정하고 특정 프로그램에 시간 제한을 다는 역할을 한다. 시간이 많이 걸리는 프로그램이 작동 시 제한을 걸기 위해 존재한다.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 IO 디바이스들의 작은 CPU를 말하며 옆에 붙어 있는 로컬버퍼는 각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작은 메모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