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운영하던 자바 프로젝트는 테스트 코드가 없고 코드 스타일이 통일되지 않아 유지보수 비용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작은 기능 하나를 수정해도, 이 변경이 다른 API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매번 Postman과 Swagger로 수많은 API를 수동으로 테스트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과정이 반복되었습니다.
최근 안드로이드 개발자와의 협업을 통해 서버를 코틀린으로 전환하면서, 저희 팀은 이를 묵혀왔던 기술 부채를 청산할 절호의 기회로 삼았습니다. 여러 개선 과제 중에서도 가장 먼저 해결하고자 했던 두 가지 문제는 바로 (1) 부재했던 테스트 코드 작성과 (2) 일관성 없는 코드 스타일의 통일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번째 문제, 즉 코드 스타일을 해결하기 위해 저희 팀이 ktlint
를 도입하고 적용했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ktlint
를 통해 팀의 코드 스타일을 성공적으로 통일하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지만, 때로는 기본 규칙이 오히려 가독성을 해친다고 느껴지는 아쉬운 순간도 있었습니다.
물론 이런 부분은 팀원들과의 논의를 통해 우리 팀만의 컨벤션을 정립하며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ktlint
가 매우 유용한 도구임은 분명하지만, 모든 상황에 맞는 완벽한 만능 해결책은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이에 ktlint
를 적용하면서 놓치기 쉬운 부분은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 팀의 컨벤션에 맞게 효과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학습하고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팀에서 흔히 발생하는 소모적인 논쟁 중 하나로 코드 스타일(Code Style)에 관한 것을 꼽을 수 있습니다. 중괄호({}
)를 같은 줄에 둘 것인가, 다음 줄로 내릴 것인가와 같은 논쟁은 종종 '자전거 보관소 효과(bikeshedding)'에 비유되곤 합니다. 이는 중요한 핵심 문제보다 사소하고 비본질적인 문제에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는 현상을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흔히 코드 스타일은 개인의 취향 문제를 넘어 팀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문제로 여겨집니다. 일관되지 않은 코드는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개발자의 인지 부하(Cognitive Load)를 높이며, 코드 리뷰 과정을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결국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모적인 논쟁을 줄이고 팀 전체가 일관된 코드 스타일을 유지하도록 돕는 유용한 해결책 중 하나로 정적 분석 도구(Static Analysis Tool)가 꼽힙니다. 코틀린 생태계에서는 ktlint
가 널리 알려진 도구 중 하나입니다. ktlint
는 스스로를 "자전거 보관소 논쟁을 막는(anti-bikeshedding) 코틀린 린터(linter)이자 포맷터(formatter)"라고 소개한다고 합니다. 이 도구의 목표는 코드를 깨끗하고 읽기 쉬우며 일관성 있게 만들어, 개발자가 더 중요한 로직 구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ktlint
의 진정한 가치는 단순히 코드 스타일을 검사하는 것을 넘어, 팀에 검증된 모범 사례를 즉시 도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ktlint
는 JetBrains가 제안하는 공식 코틀린 코딩 컨벤션(Kotlin Coding Conventions)과 안드로이드 코틀린 스타일 가이드(Android Kotlin Style Guide)를 기본 원칙으로 삼는다고 합니다. 이는 팀이 별도의 스타일 가이드를 정의하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ktlint
를 도입하는 것만으로 커뮤니티에서 검증된 표준을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팀원이 프로젝트에 적응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코드 리뷰에 드는 노력을 줄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ktlint
를 단순한 린터를 넘어, '상자 안에 담긴 스타일 가이드'처럼 활용하는 방법을 좀 더 깊이 있게 다뤄보고자 합니다.
ktlint
의 핵심 설계 원칙과 그 철학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이해하는 것은 이 도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ktlint
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습니다.
ktlint
의 가장 큰 특징은 gofmt
와 같은 도구에서 영감을 받은 '설정 불필요' 정책이었다고 합니다. 단 하나의 표준을 제공함으로써 스타일과 관련된 모든 논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려는 의도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ktlint
는 단순히 문제를 찾아내는 데 그치지 않고, 대부분의 위반 사항을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는 강력한 포맷터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ktlint -F
명령어 하나로 코드 스타일을 교정할 수 있어 개발자의 시간을 크게 절약해준다고 합니다. 다만, 일부 모호하거나 결정적이지 않은 위반 사항은 자동으로 수정하기 어려워 개발자의 수동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standard
규칙 세트를 제공하며, 새롭거나 변경될 수 있는 규칙들을 모아놓은 experimental
규칙 세트도 있습니다. experimental
규칙은 명시적으로 활성화해야만 적용된다고 합니다. 또한, 프로젝트별 특수 규칙을 정의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규칙 세트(custom rule sets)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설정 불필요'라는 초기 이념은 매우 이상적이었지만, 실제 프로젝트 환경에서는 때때로 한계에 부딪히기도 했습니다. 공식 가이드와 약간 다른 기존 프로젝트의 컨벤션을 따르거나, 특정 규칙을 비활성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 것입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ktlint
는 점진적으로 진화해왔습니다. ktlint
개발팀은 독자적인 설정 파일을 만드는 대신, 이미 많은 IDE와 편집기에서 지원하는 산업 표준인 .editorconfig
파일을 설정 메커니즘으로 채택했다고 합니다. 이는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평가받습니다. 이로 인해 ktlint_standard_rule-id
나 ktlint_code_style
과 같은 ktlint
전용 속성들이 .editorconfig
파일 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현대의 ktlint
철학은 "별도의 설정 없이도 훌륭하고 표준화된 경험으로 시작하라. 하지만 필요하다면, 표준 .editorconfig
파일을 통해 명시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제어를 하라."와 같이 요약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ktlint
의 초기 문서나 오래된 정보만 접한 사용자들이 가질 수 있는 오해를 바로잡는 중요한 지점입니다. ktlint
는 여전히 설정 없이도 강력하지만, 팀 환경에서의 진정한 잠재력은 .editorconfig
를 이해하고 활용할 때 발휘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통합 방식의 기초가 되는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CLI)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brew install ktlint
curl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행 가능한 JAR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하고 시스템 경로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wget
과 같은 대체 도구도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curl -sSLO https://github.com/pinterest/ktlint/releases/download/1.6.0/ktlint && chmod a+x ktlint && sudo mv ktlint /usr/local/bin/
(위 명령어의 버전 1.6.0
은 최신 버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ktlint --version
ktlint
):ktlint
를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와 그 하위의 모든 .kt
및 .kts
파일을 재귀적으로 검사한다고 합니다.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파일경로:줄:열: 에러 메시지 (규칙ID)
형식으로 출력됩니다.ktlint -F
또는 ktlint --format
):// Before
fun main () { println("hello") }
ktlint -F
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수정됩니다.// After
fun main() {
println("hello")
}
다만, 일부 복잡한 들여쓰기 문제처럼 자동으로 해결할 수 없는 오류는 수동으로 수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gitignore
스타일의 패턴을 사용하여 특정 파일만 검사하거나 특정 디렉토리를 제외할 수 있다고 합니다.# src 디렉토리 내의 모든 .kt 파일을 검사하되, Test.kt로 끝나는 파일은 제외
ktlint "src/**/*.kt" "!src/**/*Test.kt"
plain
, json
, html
, checkstyle
, sarif
등의 리포터를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결과를 HTML 파일로 생성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ktlint --reporter=html,output=ktlint-report.html
자주 사용되는 CLI 명령어를 빠르게 참조할 수 있도록 정리한 표입니다.
명령어 | 단축 명령어 | 설명 | 예시 |
---|---|---|---|
ktlint | 코드 스타일 위반 사항을 검사합니다. | ktlint "src/**/*.kt" | |
ktlint --format | -F | 코드 스타일 위반 사항을 자동으로 수정합니다. | ktlint -F "src/**/*.kt" |
ktlint --reporter=... | 검사 결과의 출력 형식을 지정합니다. | ktlint --reporter=html,output=report.html | |
ktlint --experimental | 실험적인 규칙을 포함하여 검사합니다. | ktlint --experimental | |
ktlint --disabled_rules=... | 특정 규칙을 비활성화합니다. (CLI 사용은 권장되지 않음) | ktlint --disabled_rules=standard:no-wildcard-imports | |
ktlint generateEditorConfig | .editorconfig 파일에 추가할 수 있는 기본 설정을 생성합니다. | ktlint generateEditorConfig >.editorconfig |
수동으로 CLI 명령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넘어, 프로젝트의 표준 빌드 도구에 ktlint
를 통합하여 검사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이는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ktlint
를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ktlint
를 빌드 도구에 통합할 때는 크게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ktlint
전용으로 만들어진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러 언어의 포매팅을 지원하는 범용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Gradle에서는 jlleitschuh/ktlint-gradle
과 spotless
가 대표적입니다. jlleitschuh/ktlint-gradle
은 코틀린 프로젝트에 특화되어 안드로이드 빌드 구조 등을 깊이 이해하고 최적의 통합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spotless
는 코틀린뿐만 아니라 자바, XML 등 다양한 파일 형식을 하나의 설정 블록 안에서 관리하고 싶을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주로 코틀린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전용 플러그인인 jlleitschuh/ktlint-gradle
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글에서도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며 기능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jlleitschuh/ktlint-gradle
플러그인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build.gradle.kts
(또는 build.gradle
) 파일의 plugins
블록에 플러그인을 추가합니다.// build.gradle.kts
plugins {
id("org.jlleitschuh.gradle.ktlint") version "12.3.0"
}
build.gradle
파일의 allprojects
또는 subprojects
블록에 플러그인을 적용하여 모든 모듈에 ktlint
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ktlintCheck
와 ktlintFormat
이라는 두 가지 핵심 Gradle Task가 생성된다고 합니다../gradlew ktlintCheck
: 린터를 실행하여 코드 스타일 위반 사항을 검사합니다.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빌드가 실패하게 됩니다../gradlew ktlintFormat
: 코드 스타일 위반 사항을 자동으로 수정해 줍니다.ktlint
설정 블록에 android = true
옵션을 추가하여 안드로이드 코틀린 스타일 가이드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build.gradle.kts
ktlint {
android.set(true)
}
Maven 프로젝트에서는 전용 플러그인인 gantsign/ktlint-maven-plugin
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pom.xml
파일에 다음과 같이 <plugin>
설정을 추가합니다.<plugin>
<groupId>com.gantsign.maven</groupId>
<artifactId>ktlint-maven-plugin</artifactId>
<version>1.16.0</version>
<executions>
<execution>
<id>check</id>
<phase>validate</phase>
<goals>
<goal>check</goal>
</goals>
</execution>
</executions>
</plugin>
check
goal을 Maven 빌드 생명주기의 validate
단계에 바인딩하면, 빌드 초기에 코드 스타일을 검사하여 빠르게 실패를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mvn ktlint:check
: 코드 스타일 위반 사항을 검사합니다.mvn ktlint:format
: 코드를 자동으로 포매팅합니다.mvn validate
: validate
단계에 바인딩된 check
goal을 실행합니다.--add-opens java.base/java.lang=ALL-UNNAMED
를 추가해야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하며, 이는 플러그인 공식 문서에도 명시되어 있다고 합니다..editorconfig
로 ktlint 맞춤 설정하기현대의 ktlint
를 설정하는 가장 표준적이고 권장되는 방법으로 .editorconfig
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관련 내용을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
.editorconfig
파일.editorconfig
는 다양한 IDE와 편집기에서 코드 스타일을 일관되게 정의하기 위한 표준 파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프로젝트 최상위 디렉토리에 이 파일을 생성하여 ktlint
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ktlint
관련 속성들이 반드시 [*.{kt,kts}]
섹션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간혹 IntelliJ IDEA의 특정 버전 문제로 [*.{kt, kts}]
처럼 Glob 패턴 사이에 공백이 추가될 수 있는데, 이는 ktlint
의 파싱 오류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disabled_rules
속성을 사용하여 비활성화할 규칙들을 쉼표로 구분하여 나열했다고 합니다. 이 속성은 현재 사용되지 않으며(deprecated) 최신 버전에서는 제거되었으므로, 기존 설정을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 이를 인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ktlint
에서는 각 규칙을 개별 속성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ktlint_standard_<rule-id> = disabled
형식을 사용합니다.ktlint_standard_no-wildcard-imports = disabled
ktlint_standard_final-newline = disabled
전체 규칙 세트를 비활성화하려면 ktlint_standard = disabled
와 같이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디렉토리에 대해서만 규칙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드물게 특정 규칙을 예외적으로 위반해야 할 경우, 코드 내에서 직접 위반 사항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종의 '비상 탈출구'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 ktlint-disable standard:rule-id
/* ktlint-disable */... /* ktlint-enable */
@Suppress("ktlint:standard:rule-id")
.editorconfig
속성주요 .editorconfig
속성들을 정리한 ktlint
설정 참조 표입니다.
속성 | 목적 | 예시 값 | 참고 |
---|---|---|---|
root | 이 파일이 최상위 설정 파일임을 명시합니다. | true | 항상 true 로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indent_size | 들여쓰기 크기를 설정합니다. | 4 , 2 | indent 규칙 등에서 사용됩니다. |
max_line_length | 한 줄의 최대 길이를 설정합니다. | 100 , 120 , off | 기본값은 off 로 알려져 있습니다. |
insert_final_newline | 파일 끝에 개행 문자를 강제합니다. | true , false | true 사용이 권장됩니다. |
ktlint_code_style | 기본 코드 스타일을 설정합니다. | ktlint_official , android_studio |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서는 android_studio 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ktlint_experimental | 모든 실험적인 규칙을 활성화합니다. | enabled , disabled | 기본값은 disabled 입니다. |
ktlint_standard_<rule-id> | 특정 규칙을 활성화/비활성화합니다. | enabled , disabled | 예: ktlint_standard_import-ordering = disabled . |
ij_kotlin_allow_trailing_comma | 선언 위치에서 후행 쉼표 사용을 강제/비허용합니다. | true , false | ktlint 는 이 설정에 대해 IntelliJ IDEA보다 엄격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ktlint
의 이점을 극대화하려면 개발 프로세스의 여러 단계에 이를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ktlint
공식 문서에서 권장하는 접근법 중 하나는 일관성 없는 코드가 프로젝트에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다층적 방어 전략, 즉 '심층 방어(Defense in Depth)' 모델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 전략은 각기 다른 개발 단계에서 오류를 감지하는 여러 개의 방어선을 구축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각 방어선의 역할과 설정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Preferences > Tools > KtLint
메뉴에서 플러그인을 설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ktlint
가 자동으로 코드를 포매팅하고, 자동 수정이 불가능한 오류만 표시해 준다고 합니다. 이는 IDE의 기본 포매터와 ktlint
간의 충돌을 해결하는 데 가장 권장되는 방법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editorconfig
파일을 자동으로 인식하므로, CLI나 빌드 도구와 일관된 경험을 제공한다고 합니다.로컬 커밋 기록을 보호하기 위해 Git의 pre-commit
훅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설정:
.git/hooks/pre-commit
파일을 생성하고 실행 권한을 부여한 뒤, 다음과 같은 로직의 셸 스크립트를 작성해 볼 수 있습니다.
git diff --name-only --cached
명령어로 스테이징된 .kt
및 .kts
파일 목록을 가져옵니다.ktlint -F
를 실행하여 포매팅합니다.git add
하여 스테이징합니다.이 과정은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pre-commit
파일을 .git/hooks
디렉토리로 복사하는 Gradle Task를 만들어 자동화할 수도 있습니다.
팀 전체의 코드 품질을 Pull Request 단계에서 강제하기 위해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설정:
GitHub Actions를 사용하는 경우, 프로젝트 루트에 .github/workflows/lint.yml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 내용을 작성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는 reviewdog
과 통합하여 PR에 직접 코멘트를 남기는 ScaCap/action-ktlint
액션을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name: Kotlin Lint
on: [push, pull_request]
jobs:
lint:
runs-on: ubuntu-latest
steps:
- uses: actions/checkout@v4
- name: Run ktlint
uses: ScaCap/action-ktlint@master
with:
github_token: ${{ secrets.GITHUB_TOKEN }}
reporter: github-pr-review # PR에 리뷰 코멘트로 결과 보고
이 워크플로우는 github_token
을 사용하여 PR에 접근하고, 프로젝트에 포함된 .editorconfig
설정을 자동으로 존중하여 코드 스타일을 검사한다고 합니다. nbadal/action-ktlint-setup
이나 touchlab-lab/ktlint-action-setup
과 같은 다른 액션들도 존재하여, ktlint
의 CI/CD 생태계가 활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특화된 고유한 코딩 컨벤션을 강제해야 할 경우, ktlint
를 확장하여 사용자 정의 규칙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비교적 고급 주제에 해당합니다.
표준 규칙으로는 다룰 수 없는, 프로젝트나 팀만의 고유한 규칙을 적용하고 싶을 때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직 넘버(Magic Number) 사용 금지"나 " android.util.Log
직접 사용 대신 자체 로거 사용 강제"와 같은 규칙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