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코드가 그렇게 이상한가요? - 14장 정리

데브현·2024년 3월 8일
0

14. 리팩터링: 기존의 코드를 성장시키는 기술

1. 리팩터링의 흐름

리팩터링이란 실질적인 동작은 유지하면서, 구조만 정리하는 작업이다.

class PurchasePointPayment {
    readonly custormerId: CurstomerId;
    readonly comicId: ComicId;
    readonly consumptionPoint: ConsumptionPoint;
    readonly paymentDateTime: LocalDateTime;

    constructor(customer: Customer, comic: Comic) {
        if (this.customer.isEnabled()) {
            this.customerId = customer.id;
            if (comic.isEnabled()) {
                this.comic = comic.id;
                if (
                    comic.currentPurchasePoint.amount <=
                    customer.possessionPoint.amount
                ) {
                    this.consumptionPoint = comic.currentPurchasePoint;
                    this.paymentDateTime = new Date();
                } else {
                    throw new Error("보유하고 있는 포인트가 부족합니다.");
                }
            } else {
                throw new Error("현재 구매할 수 없는 만화입니다.");
            }
        } else {
            throw new Error("유효하지 않은 계정입니다.");
        }
    }
}

중첩을 제거하여 보기 좋게 만들기

PurchasePointPayment 클래스에서 조건 판정을 위해 if 조건문을 여러 번 중첩하고 있다.
이러한 중첩문을 없애보자.

class PurchasePointPayment {
    readonly custormerId: CurstomerId;
    readonly comicId: ComicId;
    readonly consumptionPoint: ConsumptionPoint;
    readonly paymentDateTime: LocalDateTime;

    constructor(customer: Customer, comic: Comic) {
        if (!this.customer.isEnabled()) {
            throw new Error("유효하지 않은 계정입니다.");
        }

        this.customerId = customer.id;
        if (!comic.isEnabled()) {
            throw new Error("현재 구매할 수 없는 만화입니다.");
        }

        this.comic = comic.id;
        if (
            comic.currentPurchasePoint.amount > customer.possessionPoint.amount
        ) {
            throw new Error("보유하고 있는 포인트가 부족합니다.");
        }

        this.consumptionPoint = comic.currentPurchasePoint;
        this.paymentDateTime = new Date();
    }
}

의미 단위로 로직 정리하기

서로 다른 일이 뒤섞여 있으므로, 로직이 정리되지 않는다. 조건 확인값 대입 로직을 분리하여 정리한다.

class PurchasePointPayment {
    readonly custormerId: CurstomerId;
    readonly comicId: ComicId;
    readonly consumptionPoint: ConsumptionPoint;
    readonly paymentDateTime: LocalDateTime;

    constructor(customer: Customer, comic: Comic) {
        if (!this.customer.isEnabled()) {
            throw new Error("유효하지 않은 계정입니다.");
        }

        if (!comic.isEnabled()) {
            throw new Error("현재 구매할 수 없는 만화입니다.");
        }

        if (
            comic.possessionPoint.amount < customer.currentPurchasePoint.amount
        ) {
            throw new Error("보유하고 있는 포인트가 부족합니다.");
        }

        this.customerId = customer.id;
        this.comic = comic.id;
        this.consumptionPoint = comic.currentPurchasePoint;
        this.paymentDateTime = new Date();
    }
}

조건을 읽기 쉽게 하기

유효하지 않은 구매자 계정에 논리 부정 연산자 ‘!’를 사용하고 있어 한 번 더 생각하게 만든다.

isDisabled하는 메서드를 만들어 호출하도록 수정한다.


	constructor(customer: Customer, comic: Comic) {
		if (this.customer.isDisabled()) {
			throw new Error("유효하지 않은 계정입니다.");
		}

		if (comic.isDisabled()) {
			throw new Error("현재 구매할 수 없는 만화입니다.");
		}

		if (comic.possessionPoint.amount < customer.currentPurchasePoint.amount) {
			throw new Error("보유하고 있는 포인트가 부족합니다.");
		}

		this.customerId = customer.id;
		this.comic = comic.id;
		this.consumptionPoint = comic.currentPurchasePoint;
		this.paymentDateTime = new Date();
	}

무턱대고 작성한 로직을 목적을 나타내는 메서드로 바꾸기

목적을 나타내는 메서드(isShortOfPoint)로 만들어 사용한다.

class Customer {
    readonly id: CustomerId;
    readonly possessionPoint: PurchasePoint;

    isShortOfPoint(comic: Comic): boolean {
        return possessionPoint.amount < comicCurrentPurchasePoint.amount;
    }
}
class PurchasePointPayment {
    readonly custormerId: CurstomerId;
    readonly comicId: ComicId;
    readonly consumptionPoint: ConsumptionPoint;
    readonly paymentDateTime: LocalDateTime;

    constructor(customer: Customer, comic: Comic) {
        if (!this.customer.isEnabled()) {
            throw new Error("유효하지 않은 계정입니다.");
        }

        if (!comic.isEnabled()) {
            throw new Error("현재 구매할 수 없는 만화입니다.");
        }

        if (customer.isShortOfPoint(comic)) {
            throw new Error("보유하고 있는 포인트가 부족합니다.");
        }

        this.customerId = customer.id;
        this.comic = comic.id;
        this.consumptionPoint = comic.currentPurchasePoint;
        this.paymentDateTime = new Date();
    }
}

2. 단위 테스트로 리팩터링 중 실수 방지하기

단위 테스트는 작은 기능 단위로 동작을 검증하는 테스트를 의미한다.

테스트 코드가 없는 프로덕션 코드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리팩터링 하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다음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배송비를 계산하고, 리턴하는 메서드이다.

class DeliveryManager {
    static deliveryCharge(products: Array<Product>) {
        let charge = 0;
        let totalPrice = 0;
        for (each of Procuts) {
            totalPrice += each.price;
        }

        if (totalPrice < 20000) {
            charge = 5000;
        } else charge = 0;
        return charge;
    }
}

코드 과제 정리하기

이 메서드는 static으로 정의되어 있고, static 메서드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조작하는 로직을 분리해서 정의할 수 있는 구조여서 응집도가 낮아지기 쉽다.

  • ‘배송비’는 금액을 나타내는 개념이므로, 값 객체로 만들자
  • 합계 금액은 장바구니를 확인할 때, 실제로 주문할 때 등 다양한 유스케이스에 사용된다.
    • 이를 별도의 클래스로 빼자
  • 합계 금액 계산은 일급 컬렉션 패턴으로 설계

테스트 코드를 사용한 리팩터링 흐름

  1. 이상적인 구조의 클래스 기본 형태를 어느 정도 잡는다.
  2. 이 기본 형태를 기반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3. 테스트를 실패시킨다.
  4. 테스트를 성공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코드를 작성한다.
  5. 기본 형태의 클래스 내부에서 리팩터링 대상 코드를 호출한다.
  6. 테스트가 성공할 수 있도록, 조금씩 로직을 이상적인 구조로 리펙터링한다.

이상적인 구조의 클래스 기본 형태를 어느정도 잡는다.

장바구니 클래스

class ShoppingCart {
    readonly products: Array<Product>;

    constructor(products?: Array<Product>) {
        if (products) {
            this.products = products;
        } else this.products = new Array();
    }

    add(prouct: Product) {
        const adding = new Array();
        adding.push(product);

        return new ShoppingCart(adding);
    }
}

상품 클래스

class Product {
    readonly id: number;
    readonly name: string;
    readonly price: number;

    constructor(id: number, name: string, price: number) {
        this.id = id;
        this.name = name;
        this.price = price;
    }
}

배송비 클래스

class DeliveryCharge {
    readonly amount: number;

    constructor(shoppingCart: ShoppingCar) {
        this.amount = -1;
    }
}

테스트코드 작성하기

배송비 책정 기준 테스트코드 작성하기

  • 상품 합계 금액이 20,000원 미만이면, 배송비는 5,000원입니다.
  • 상품 합계 금액이 20,000원 이상이면, 배송비는 무료입니다.
describe("배송비 책정 기준을 테스트합니다.", () => {
    test("상품 합계 금액이 20,000원 미만이면, 배송비는 5,000원입니다.", () => {
        const emptyCart = new ShoppingCart();
        const oneProductAdded = emptyCart.add(new Product(1, "상품A", 5000));
        const twoProductAdded = oneProductAdded.add(
            new Product(2, "상품B", 14990)
        );

        const charge = new DeliveryCharge(twoProductAdded);

        expect(charge.amount).toBe(5000);
    });

    test("상품 합계 금액이 20,000원 이상이면, 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 {
        const emptyCart = new ShoppingCart();
        const oneProductAdded = emptyCart.add(new Product(1, "상품A", 5000));
        const twoProductAdded = oneProductAdded.add(
            new Product(2, "상품B", 15000)
        );

        const charge = new DeliveryCharge(twoProductAdded);

        expect(charge.amount).toBe(0);
    });
});

테스트 실패시키기

단위 테스트는 프로덕션 코드를 구현하기 전에, 실패와 성공을 확인해야 한다.
지금 현재의 코드로는 테스트는 둘 다 실패할 것이다.

테스트 성공시키기

테스트를 성공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코드만 구현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DeliveryCharge 클래스를 변경해야 한다.

class DeliveryCharge {
    readonly amount: number;

    constructor(shoppingCart: ShoppingCart) {
        const totalPrice =
            shoppingCart.products.get(0).price + shoppingCart.products(1).price;
        if (totalPrice < 20000) amount = 5000;
        else amount = 0;
    }
}

설계는 부실하더라도 일단은 이렇게 작성환다.

리팩터링하기

테스트가 성공했으니 리팩터링을 진행한다.

class DeliveryCharge {
    readonly amount: number;

    constructor(shoppingCart: ShoppingCart) {
        this.amount = DeliveryManager.deliveryCharge(shopingCart.products);
    }
}

totalPrice 메서드를 ShoppingCart 클래스에 추가한다.

class ShoppingCart {
    // 생략

    totalPrice(): number {
        let amount = 0;
        for (each of products) {
            amount += each.price;
        }
        return price;
    }
}

DeliveryManager에서 shoppingCart를 그대로 받아 배송비를 측정하도록 구현한다.

class DeliveryManager {
	static deliveryCharge(shoppingCart: ShoppingCart) {
		let charge = 0;
		if (shoppingCart.totalPrice() < 20000) {
			charge = 5000;
		} else charge = 0;

		return charge;
}

// shoppingCart를 그대로 받으니 같이 변경한다.
class DeliveryCharge {
	readonly amount: number;

	constructor(shoppingCart: ShoppingCart) {
		this.amount = DeliveryManager.deliveryCharge(shopingCart);
	}
}

이후 ShoppingCart클래스의 인스턴스 변수 products를 private로 변경해 외부에서의 위험을 없앤다.

class ShoppingCart {
    private readonly products: Array<Product>;

    // 생략
}

DeliveryManager에서 사용하던 메서드 로직을 그대로 가져온다. (DeliveryManager를 지울거면 왜한거지??)

class DeliveryCharge {
    readonly amount: number;

    constructor(shoppingCart: ShoppingCart) {
        if (shoppingCart.totalPrice() < 20000) {
            this.amount = 5000;
        } else this.amount = 0;
    }
}

이후에 20000, 5000, 0 과 같은 매직 넘버들은 이름을 붙여 상수로 관리한다.

class DeliveryCharge {
    readonly amount: number;
    private static readonly CHARGE_FREE_THREASHOLD = 20000;
    private static readonly PAY_CHARGE = 5000;
    private static readonly CHARGE_FREE = 0;

    constructor(shoppingCart: ShoppingCart) {
        if (shoppingCart.totalPrice() < DeliveryCharge.CHARGE_FREE_THREASHOLD) {
            this.amount = DeliveryCharge.PAY_CHARGE;
        } else this.amount = DeliveryCharge.CHARGE_FREE;
    }
}

여기서 amount는 삼항 연산자로 바꾸는게 괜찮을 것 같다.

class DeliveryCharge {
    readonly amount: number;
    private static readonly CHARGE_FREE_THREASHOLD = 20000;
    private static readonly PAY_CHARGE = 5000;
    private static readonly CHARGE_FREE = 0;

    constructor(shoppingCart: ShoppingCart) {
        this.amount =
            shoppingCart.totalPrice() < DeliveryCharge.CHARGE_FREE_THREASHOLD
                ? DeliveryCharge.PAY_CHARGE
                : DeliveryCharge.CHARGE_FREE;
    }
}

3. 불확실한 사양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 방법

사양을 미리 알 수 있는 경우는 드물기에 ‘테스트가 없는 코드에 테스트를 추가해서 안전하게 리팩터링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테크닉’이다.

사양 분석 방법 1: 문서화 테스트

class MoneyManager {
	static calc(v: number; flag: boolean): number {
		// 생략
	}
}

메서드의 이름과 매개변수를 보고서는 어떤 의도인지 확실하게 유추할 수 없다.

describe('문서화 테스트하기', () => {
    test('테스트 케이스 1', () => {
				const actual = MoneyManager.calc(1000. false);

        expect(actual).toBe(0);
				// 어떤 값이 나오는지 알았으니 맞게 변경한다.
				// expect(actual).toBe(1000);
    });
		// ...
});

몇가지 테스틀 더 진행해 다음과 같은 표를 얻을 수 있다.

매개변수 v매개변수 flag리턴 값
1000false1000
2000false2000
3000false3000
1000true1100
2000true2200
3000true3300
  • flag가 false라면, 그대로 리턴
  • flag가 true라면, 어떠한 계산을 한뒤 리턴

얼추 보면 10%를 계산해서 리턴하는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완벽하게 밝히기는 어렵지만 이런식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보면 될 것 같다.

(여담이지만, 이런식으로 테스트 코드 작성해서 찾는게 맞을까? 싶다. 정말 규칙이 단순해서 그렇지 복잡하다면??? 그러면 이러한 불필요한 테스트코드를 통해 알아내는게 과연 맞을까 싶다)

사양 분석 방법 2: 스크래치 리팩터링

스크래치 리팩터링이란 로직의 의미와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시험 삼아 리팩터링 하는 것이다.

대상 코드를 체크아웃 한뒤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 리팩터링을 진행한다.

이런식으로 진행했을 때 몇가지 장점이 있다.

  •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져 로직의 사양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이상적인 구조가 보인다.
  • 쓸데없는 코드(데드 코드)가 보인다.
  • 테스트 코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보인다.

스크래치 리팩터링은 오로지 분석용이므로 끝난뒤에는 파기해야 한다.

4. IDE의 리팩터링 기능

리네임(이름 변경)

IDE에는 클래스, 메서드, 변수 등 이름을 전부 변경하는 기능이 들어 있다.

메서드 추출

로직의 일부를 메서드로 추출해주는 기능이다.

프론트에서도 긁어서 컴포넌트로 분리하던지 함수로 빼던지 다양한 기능을 에디터에서 제공해준다.

5. 리팩터링 시 주의 사항

기능 추가와 리팩터링 동시에 하지 않기

두 개의 모자(기능 추가 모자, 리팩터링 모자) 중에 하나만 쓰고 있어야 한다.

두가지를 같이 진행하게 되면 버그가 발생했을 때, 어떤 원인 때문에 버그가 발생했는지 찾기가 힘들다.

작은 단위로 시작하기

리팩터링은 작은 단계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메서드 이름 변경과 로직 이동을 했으면, 커밋을 서로 다르게 구분하는 것이 좋다.

불필요한 사양은 제거 고려하기

방해되는 코드가 불필요한 사양과 관련된 코드라면, 대처 방안을 검토하는 비용도 낭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팩터링 전에 불필요한 사양이 있는지, 미리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profile
하다보면 안되는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