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코드가 그렇게 이상한가요? - 4장 정리

데브현·2023년 12월 22일
0
post-thumbnail

4장 불변 활용하기: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만들기

1. 재할당

변수에 값을 다시 할당하는 것을 재할당, 파괴적 할당 이라고 한다. 재할당은 변수의 의미를 바꿔 추측하기 어렵게 만든다.

불변 변수로 만들어 재할당 막기

재할당을 막기 위해 변수를 다시 변경하지 못하도록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막는다.

function damage(): void {
  const basicAttackPower = member.power() + member.weakAttack();
	const finalAttackPower = parseInt(basicAttackPower * (1 + member.speed() / 100));
	const reduction = parseInt(enemy.defence / 2);
	const damage = Math.max(0, finalAttackPower - reduction);

	return damage;
}

매개변수도 불변으로 만들기

매개변수를 변경하면 값의 의미가 바뀔수 있다. 그러므로 매개변수에도 final 키워드를 붙이면 된다. (javascript 에서는 매개변수에 따로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없다.)

void addPrice(final int productPrice) {
	final int increasedTotalPrice = totalPrice + productPrice;
  if (MAX_TOTAL_PRICE < increasedTotalPrice)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구매 상한 금액을 넘었습니다.");
  }
}

만약 막고 싶다면 매개변수를 객체로 받아서 변경을 불가능하게 막을 수 있다.

function addPrice(params: { producePrice: number }): void {
  const { productPrice } = params;
  // productPrice = 100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Error 발생
  const increasedTotalPrice = totalPrice + productPrice;
  if (MAX_TOTAL_PRICE < increasedTotalPrice) {
	  throw new Error("구매 상한 금액을 넘었습니다.");
  }
}

2. 가변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방향

사례 1: 가변 인스턴스 재사용하기

class AttackPower {
	static readonly MIN = 0;
  value: number;
  constructor(value: number){
	  if(value < AttackPower.MIN) {
			throw new Error();
		}

		this.value = value;
	}
}
class Weapon {
	static attackPower: AttackPower;
	constructor(attackPower: AttackPower) {
		Weapon.attackPower = attackPower
	}
}
const attackPower = new AttackPower(20);

const weaponA = new Weapon(attackPower);
const weaponB = new Weapon(attackPower);

weaponA.attackPower.value = 25;

console.log(weaponA.attackPower.value); // 25
console.log(weaponB.attackPower.value); // 25
// 재사용하는 값을 변경하면 두가지에 모두 영향을 준다.
// ---------------------------------------

const attackPowerA = new AttackPower(20);
const attackPowerB = new AttackPower(20);

const weaponA = new Weapon(attackPowerA);
const weaponB = new Weapon(attackPowerB);

weaponA.attackPower.value = 25;

console.log(weaponA.attackPower.value); // 25
console.log(weaponB.attackPower.value); // 20

// 별개의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영향을 끼지지 않는다.

사례 2: 함수로 가변 인스턴스 조작하기

class AttackPower {
	static readonly MIN = 0;
  value: number;
  constructor(value: number){
	  if(value < AttackPower.MIN) {
			throw new Error();
		}

		this.value = value;
	}

	reinforce(increment: number): void {
		this.value += increment;
	}

	disable(): void {
		this.value = AttackPower.MIN;
	}
}

const attackPower = new AttackPower(20);
attackPower.reinforce(15);
// 어느 순간에 공격력이 0이 되는 순간이 발생

disalbe 메서드와 reinforce 메서드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음

동일한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동일한 순서로 실행해야 한다. → 작업 실행 순서에 의존된다.(부수 효과가 발생)

부수 효과의 단점

함수의 부수 효과는 ‘함수가 매개 변수를 전달받고, 값을 리턴하는 것’ 이외에 외부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 주요 작용: 함수(메서드)가 매개변수를 전달받고, 값을 리턴하는 것
  • 부수 효과: 주요 작용 이외의 상태를 변경을 일으키는 것

함수의 영향 범위 한정하기

  • 데이터(상태)는 매개변수로 받는다.
  •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 값은 함수의 리턴 값으로 돌려준다.

순수 함수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이 든다.

불변으로 만들어서 예기치 못한 동작 막기

AttackPower 클래스 변경하기

class AttackPower {
	static readonly MIN = 0;
  private readonly value: number;
  constructor(value: number){
	  if(value < AttackPower.MIN) {
			throw new Error();
		}
		this.value = value;
	}

	reinforce(increment: AttackPower) {
		return new AttackPower(this.value + increment.value);
	}

	disable() {
		return new AttackPower(AttackPower.MIN);
	}

  getValue() {
    return this.value
  }
}

Weapon 클래스 변경하기

class Weapon {
	private attackPower: AttackPower;

	constructor(attackPower: AttackPower) {
		this.attackPower = attackPower
	}

	reinforce(increment: AttackPower) {
	  const reinforced = this.attackPower.reinforce(increment);
		return new Weapon(reinforced);
	}

  getAttackPower() {
    return this.attackPower;
  }
}
const attackPowerA = new AttackPower(20);
const attackPowerB = new AttackPower(20);

const weaponA = new Weapon(attackPowerA);
const weaponB = new Weapon(attackPowerB);

const increment = new AttackPower(5);
const reinforcedWeaponA = weaponA.reinforce(increment);

console.log(weaponA.getAttackPower().getValue()); // 20
console.log(reinforcedWeaponA.getAttackPower().getValue()); // 25
console.log(weaponB.getAttackPower().getValue()); // 20

weaponAreinforcedWeaponA 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인스턴스로 생성이 가능하다.

3. 불변과 가변은 어떻게 다뤄야 할까

변수를 불변으로 만들때의 장점

  • 변수의 의미가 변하지 않으므로, 혼란을 줄일 수 있음
  • 동작이 안정적이게 되므로, 결과를 예측하기 쉬움
  • 코드의 영향 범위가 한정적이므로, 유지 보수가 편리해짐

가변으로 설계해야 하는 경우

성능이 중요한 경우에는 가변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은 경우도 존재

  • 크기가 큰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린다면 가변으로 사용하는게 좋을 수 있다.

상태를 변경하는 메서드 설계하기

히트포인트와 멤버를 나타내는 클래스

  • 히트포인트는 0이상
  • 히트포인트가 0이 되면, 사망 상태로 변경
class HitPoint {
	amount: number;
}

class Member {
	hitPoint: HitPoint;
	states: States;

	damage(damageAmount: number) {
		this.hitPoint.amount -= damageAmount;
	}
}

0이 되어도 사망상태로 바꾸지 않는다. 상태를 변화 시키는 메서드(뮤테이터)로 상태를 변경해야 한다.

class HitPoint {
	private readonly MIN = 0;
	amount: number;
  
	constructor(amount: number) {
		if(amount < HitPoint.MIN) {
			 throw new Error();
		}
		this.amount = amount;
	}

	damage(damageAmount): void {
		const nextAmount = amount - damageAmount;
		this.amount = Math.max(HitPoint.MIN, nextAmount);
	}
	
	boolean isZero() {
		return amount === HitPoint.MIN;
	}
}

class Member {
	private hitPoint: HitPoint;
	private states: States;

	// 초기값 세팅
  constructor(amount: number) {
    this.hitPoint = new HitPoint(amount);
  }

	damage(damageAmount: number): void {
		this.hitPoint.damage(damageAmount);
		if (this.hitPoint.isZero()) {
			this.states.add(StateType.dead);
		}
	}
}

코드 외부와 데이터 교환은 극소화하기

불변을 활용하더라도 코드 외부와의 데이터 교환은 주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리포지터리 패턴(repository pattern)을 활용한다.

리포지터리 패턴이란?
데이터베이스 등 데이터 소스의 제어 로직을 캡슐화하는 패턴이다. 특정 클래스 내부에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을 격리하므로, 애플리케이션 로직이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과 섞이지 않는다.

profile
하다보면 안되는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