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Fintech)란?

jiji·2023년 11월 2일
0

Developer

목록 보기
5/12

핀테크(Fintech)란 금융(Finance)에 IT기술(Technology)을 접목
핸드폰, S/W 기술 등을 기반으로 금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 영역 : 송금, 결제, 자산관리, 투자, 데이터분석, 보안
ex.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1. 간편결제, 간편송금
  2. 로보어드바이저 :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온라인 자동 포트폴리오 관리 서비스
    로보어드바이저의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서 데이터가 쌓이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좋은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
  3. P2P대출
    대출자의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것은 물론, 돈이 필요한 사람과 돈을 굴리고 싶은 사람을 매칭해 대출과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크라우드펀딩 개념에 기반을 둔 개인과 개인 사이의 대출 서비스이다.
  4.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핀테크 상품으로, 나에게 맞는 상품을 추천해주는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기술 종류

  1. 블록 체인
    : 금융 거래 탈중심화
    분산 보관, 거래가 이루어질 때마다 새로운 장부가 새로운 거래 블록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 방식의 거래 기술. 은행을 통하지 않고 개인간의 안전한 지급 거래가 가능해졌다.
  2. 인공지능
    : 전문가의 투자 컨설팅, 자산 관리를 낮은 비용으로 대체
  3. 빅데이터
    :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축적, 분석해서 활용하는 기술. 기업과 개인의 합리적인 금융 의사 결정을 도와준다.
  4. FDS(Fraud Detection System), 이상 거래 방지 시스템
    : 기존의 사용자 데이터(이용 패턴, 개인정보)를 분석해 평소와 다른 거래가 발생 시 사용자에게 사실을 확인한 뒤 범죄를 예방하는 방식이다. BUT 고액, 문제 발생 시 기업이 책임을 진다.
  5. 에스크로우(Excrow)
    : 개인 거래에서 제 3자가 끼어있는 형태. 대금 ↔️ 제 3자 ↔️ 판매자
  6. 생체 인식
    : 지문, 정맥, 음성, 홍채, 얼굴 등 생체 인식 수단을 사용. FIDO 연합이 생체인식 표준화 및 서비스 개발을 확산 중이다.

Fintech의 보안해야 할 점

법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 은행이 아닌 대부업에 등록되어있어 높은 이자 소득세가 부가된다. 이는 온전히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보안 -> 결제와 관련 된 정보들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어 해킹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출처]
https://wooaoe.tistory.com/13

PG(Payment Gateway), 전자결제서비스

카드결제, 간편결제, 휴대폰결제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