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해주는 개발 방법론
'무엇'을 풀어내는가에 집중
프로그램은 함수로 이루어진 것이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선언형 패러다임의 일종이다
출력은 입력에만 의존
const pure = (a,b) =>
return a+b
} // pure는 매개변수 a,b에만 영향을 받음
함수가 함수를 값처럼 매개변수로 받아 로직을 생성할 수 있는 것
고차 함수를 쓰기위해서는 해당 언어가 일급 객체여야 한다
복잡한 시스템으로부터 핵심적인 개념 또는 기능을 간추려내는 것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하나로 묶고 일부를 외부에 감추어 은닉하는 것
상위 크래스의 특성을 하위 클래스가 이어받아서 재사용하거나 추가, 확장되는 것
코드의 재사용 측면, 계층적인 관계 형성, 유지 보수성 측면에서 중요
하나의 메서드나 클래스가 다양한 방법으로 동작하는 것
SRP(Single Responsibilty Principle)
모든 클래스는 각각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OCP(Open Closd Principle)
유지 보수 사항이 생긴다면 코드를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 수정할 때는 닫혀 있어야 한다.
즉, 기존 코드를 건들지 않으면서 확장을 쉽게 할 수 있어야한다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부모 객체에 자식 객체를 넣는 일이 생겼을 때(부모 <=> 자식), 시스템이 문제없이 돌아가야한다.
ISP(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하나의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보다 구체적인 여러개의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야 하는 원칙
DIP(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자신보다 변하기 쉬운 것에 의존하던 것을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나 상위 클래스를 두어 변하기 쉬운 것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원칙이다.
타이어를 갈아끼울 틀을 만들어 놓고 다양한 타이어를 교체하는 것 처럼,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변화에 대한 구현으로부터 독립해야 한다.
비즈니스 로직이나 서비스의 특징을 고려서 패러다임을 정하면 된다.
꼭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패러다임을 조합하여 개발하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