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쿠버네티스 스터디 6일차

Heechan Kang·2025년 8월 26일
0
post-thumbnail

Day 6 (8/2) - 쿠버네티스 설치

📖 진도: 5장 / 236~259p

5.1 쿠버네티스 설치 환경의 종류

  • 도커 엔진과 다르게, 쿠버네티스는 사용 환경과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한 설치 방법이 있음

  • 목적에 따른 구분

    용도내용
    개발 용도Minikube
    Docker Desktop on Mac
    테스트 및 운영kops
    kubespray
    kubeadm
    EKS, GKE 등 Managed Service
  • 환경에 따른 구분

    • 자체 서버(on-premise) 환경에 직접 설치하는 경우
    • 클라우드 플랫폼에 직접 설치
    • 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 요약
    쿠버네티스 설치 환경의 종류

5.2 쿠버네티스 버전 선택

  • 쿠버네티스의 핵심 개념은 같겠지만, 버전 업데이트가 매우 빨라 사용 방법이나 기능이 달라질 수 있음.
  • 너무 최신이나, 너무 오래된 버전은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이 책에서는 1.32 버전을 사용함.

5.3 개발 용도의 쿠버네티스 설치

5.3.1 Docker Desktop on Mac / Windows 쿠버네티스 사용

  • 도커 데스크탑이나 orbstack 등의 환경에 내장된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음

5.3.2 Minikube로 쿠버네티스 설치

  • 로컬에서 가상머신이나 도커 엔진을 통해 쿠버네티스를 사용해 볼 수 있음.
  • 간단한 테스트 환경은 구축 가능하나, 실제 운영환경 적용은 힘들고 일부 기능 사용 불가

5.4 여러 서버로 구성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설치

  • 주의사항
    • 모든 서버의 ntp를 통해 시간을 동기화해야 함
    • (서버 복제 사용시) 각 서버의 MAC 주소가 모두 달라야 함
    • 모든 서버가 최소 2GB 메모리, 2CPU 이상 필요
    • swapoff -a 명령어로 swap 메모리 사용 중지
      • 스왑 사용시 성능이 일관되지 못함

5.4.1 kubeadm으로 쿠버네티스 설치

(생략)

5.4.2 kops로 AWS에서 쿠버네티스 설치

(생략)

5.4.3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의 GKE로 쿠버네티스 사용하기

(생략)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