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교육 - 13일(7/25)

Imomo·2022년 7월 30일
0

블록체인교육

목록 보기
13/26

📖 학습 내용

  • 그래프 정의 및 코플릿 문제풀이
  • 트리의 정의 및 코플릿 문제풀이

📚 Tree 구성요소

  • 깊이
  • 레벨
  • 높이
  • 서브 트리

✅ 이진 탐색 트리

  • 모든 왼쪽 자식의 값이 루트나 부모보다 작고, 모든 오른쪽 자식의 값이 루트나 부모보다 큰 값을 가지는 특징을 가진다.

📚 Graph의 표현 방식

✅ 1. 인정햅렬

  • 한 개의 큰 표와 같은 모습을 한 인접 행렬은 두 정점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에 용이합니다.
  • 가장 빠른 경로를 찾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 2. 인접리스트

그림으로 표현 했을 경우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코드스테이츠

  •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인접 리스트를 사용한다.
  • 인접 행렬은 연결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저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메모리를 많이 차지한다.

📚 BFS/DFS

  1. BFS : 가까운 정점부터 탐색합니다. 너비우선탐색~!
  2. DFS : 하나의 경로를 끝까지 탐색한후, 다음 경로로 탐색 시도한다. 깊이우선탐색~!

📚 Heap Tree의 특징

  1. 완전 이진 트리
  2. 중복된 값 저장
  • 일반적인 이진 탐색 트리와 다르게 중복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단순히 최대값/최소값을 찾아내기 위한 구조이기 때문.
  1. 최대 힙/ 최소 힙
  • 루트 노드에 가장 큰 값이 위치 자식 노드로 내려갈수록 작은 값이 위치하게 된다. - 최대 힙
  • 루트 노드에 가장 작은 값이 위치 자식 노드로 내려갈수록 큰 값이 위치하게 된다. - 최소 힙

📚 (!!) 논리 연산자 사용이유??

  • 자바스크립트에서 느낌표두개는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boolean 타입으로 명시적으로 형 변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var a = "test"; 	//조건문 적용시 true
var b = !"test"; 	//false
var c = !!"test"; 	//true
데이터 타입 종류의미
""빈 문자열
NaNNot a Number
undefined정의되지 않은 값
nullNull 값
0숫자 기본 값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