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를 확인하여 어떤 os, 브라우저, 환경 등에서 error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서 활용해보자
유저가 어디에서 사용하는지, 이탈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기반으로 의사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amplitude.track('내용')
으로 이벤트가 필요한 곳에 넣어주면 된다.
DNS
브라우저 → Local DNS에 도메인(IP)이 무엇인지 요청
Local DNS → Root, TLD, SLD DNS 서버에서 서버를 알아냄(Root, TLD, SLD순차적)
ip주소를 알아내고 도메인 주소로 접속하는 것이다!
IPv4
32bit 주소체계
CNAME과 Alias
DNS 레코드의 유형
CNAME은 루트 도메인이 아닌 경우에만 적용 가능
Alias는 AWS의 도메인과 연결해줌
TTL(Time to Live)
캐싱을 얼마나 오래동안 할 것인지
서브넷
서비스들을 작게 묶은 단위
게이트웨이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컴퓨터나 SW
NAT
Network Adress Transration
Route Table
서로 통신하기 위한 주소록(공유기에도 있음)
쿼리언어로 사용하는 관계형 DB 서비스
SSH로 접속 불가
read replica: SELECT문만 가능
도메인
Route53는 TLD + SLD
nslookup naver.com
: ip를 볼 수 있다가상 사설 서버
다양한 아키텍처 보는법 알기
1 Region 내에 1VPC ↔ 로드 밸런서 → 여러가지 AZ(public, private Subnet)
데이터 저장 공간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기능이 없는 것 ex) github blog), 온라인 백업, 데이터 아카이브, 기업 애플리케이션, 빅데이터 분석 등
buckets
여기에 저장되는 파일들을 객체라고 함
글로벌하게 볼 수 있다. 글로벌 서비스는 아님
이미지로 올릴 때에는 따로 프레임워크에서 어떻게해야하는지 확인해야한다.
bucket Policy
IAM과 유사한 JSON 형식의 문서
정적 사이트에 도메인 적용
버킷이 도메인/하위 도메인과 이름이 같아야 한다.
네트워크를 보니 반가웠지만, 이론 공부를 좀 까먹어서 다시 공부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