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레포지토리
https://github.com/Im-uisoon/doldari
서버 레포지토리
https://github.com/Im-uisoon/doldariback
한국정보교육원 블로그
https://blog.naver.com/boss8564/224062863730
25년 8월 말 ~ 25년 10월 2일
2025년 산업 재해와 관련된 뉴스를 많이 접했습니다. 1만명당 산재 사망자 비율이 OECD 평균이 0.29명인 것에 반해 대한민국은 0.39명으로 매우 높았습니다. 2024년에 접수된 산업재해 사고 건수는 14만 건. 이 중 사망자는 무려 2,000명이었습니다.
모바일 안전 앱 도입 결과 현장 사고율이 28% 감소했다는 미국 연구 사례를 기반으로 저희 팀도 안전 교육과 안전 시험을 전산화하여 현장 인원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오늘의 점검 및 응급 신고 기능을 구현하여 작업 전에는 그날그날의 주의사항을 상기시키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안전조치 및 응급 신고 기능을 통해서 사고 초기 대응을 용이하게 하고자 노력했습니다.
FE : Next.js, HTML, CSS, JavaScript, Figma
BE : SpringBoot
DB : MySQL
배포 : githubPages(처음) -> NHN Clouds (최종)
|
|
|
|
|
|
|
|
|
https://www.youtube.com/watch?v=KDP-94U_fio
|
|
공모전 예선 합격 소식을 접하고 본선 발표 때 정말 잘 해야겠다는 생각 뿐이었다. 지금까지는 팀프로젝트 최종 발표 내용으로 어떤 Stack을 사용하고 프론트를 어떻게 구성하고, DB는 어떻게 구성하고, 백엔드 Api는 어떻게 구성했는지, 또 폴더 구조는 어떻게 정리했는지와 같이 구현 위주의 발표를 진행했었다. 물론 코딩 공부가 핵심이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법이 맞았지만 이번에는 공모전 발표가 핵심이었다. 이 프로젝트를 왜 만들었고, 기대 효과, 확장 가능성 등을 보여드리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한국 산업재해 현황을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서문을 열었다. 한국은 타국에 비해 사고율, 사망률이 다소 높은 편이었고 이미 안전관리를 앱으로 진행하고 있는 여러 선례가 있어서 우리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부여하는 식으로 발표를 진행했다.
다행히도 이러한 접근법이 심사위원분들의 마음에 들었던 것 같다. 입상 못 했으면 정말 속상했을 것 같은데 감사하게도 우수상을 받게 되어 약 한 달 여간 팀원들과 함께 고민하고 구현하던 시간들이 아깝지 않게 되었다. 감사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