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Layer 와 식별자
![](https://velog.velcdn.com/images/heelieben/post/0f3001ec-2cdb-45a7-aa87-2ad34ff4a187/image.jpg)
식별자
대상을 식별하는 이름
Ethernet
- MAC 주소를 식별함. 랜카드(NIC)를 식별한다.
Internet
- Internet: IP 주소를 식별함. (v4)
TCP, UDP
Port 번호.
레이어마다 Prot 번호를 식별하는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 L2: 인터페이스
- L3/L4: Network Service
- PC/Server관리자: Process
운영체제에서 식별자를 확인하는 방법
// window
ipconfig
// mac
ifconfig
DOD
- OSI 7 Layer 뿐 아니라 다른 구분 방법이 있다.
- 러프하게 묶은 느낌
![](https://velog.velcdn.com/images/heelieben/post/cdd2a683-5439-4dad-ae24-84c535e24c2c/image.jpg)
Host는 이렇게 외우자
![](https://velog.velcdn.com/images/heelieben/post/3bee46e8-1621-4e21-a0c8-33519f194c70/image.jpg)
Host
- Computer(기계) + Network = Host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이다.
Switch
- 네트워크 그 자체를 이루는 host
- host의 목적이 네트워크를 확장하거나 네트워크의 기능 요소일 경우 switch
- Infra Structure
- ex) Router, IPS(보안장치), Tab/Aggregation Switch
End-point
- 네트워크 이용 주체
- 네트워크의 infra structre를 사용하는 주체
- 끝 단, 단말기
- ex) Client(PC), Server, Peer(PTP 통신)
Switch가 하는 일
![](https://velog.velcdn.com/images/heelieben/post/29060414-3a20-46c3-9909-bd393d9e96dc/image.jpg)
Network
- 고속도로망과 유사하다.
- 교차로: 경로를 선택하는 일이 발생함
- 출발지 > 목적지 로 이동할 때, 교차로에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선 어떤 경로를 선택해야하는지 알아야함.
Switch
- Switch: 교차로
- Switching: Interface(경로) 선택
- L3 Switching: IP 주소(L3)를 근거로 선택
- Packet: 자동차(단위), 패킷이 돌아다니면서 Switch를 만남
- Router: L3 Switch, 라우터마다 Routing talbe(이정표)가 들어있어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어디로 가야하는지 알 수 있음.
- L3 Switching: MAC 주소로 선택
- L4 Switching: Port 번호를 기준으로 선택
- L7 Switching: HTTP 프로토콜 규칙을 기반으로 선택
비용 (Matric)
- Matric: Switch(교차로)에서 어떤 선택을 했을 때 생기는 비용
- Matric 값이 낮은 쪽으로 이동해야한다.
컴퓨터에서 라우팅 테이블 값을 보는 방법
// window
route PRINT
![](https://velog.velcdn.com/images/heelieben/post/0242f492-8a8b-4917-add6-7b7297d7120b/imag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