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TIL 03

Nabang Kim·2021년 9월 15일
0

AWS

목록 보기
3/5
post-thumbnail

2021년 9월 15일에 작성된 문서 3번 입니다.
aws 배운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RDS: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RDS 사용 이점

1. EC2 인스턴스

  • EC2 인스턴스에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은 개인 소유 차량을 이용하는 것과 비슷.
    • 개인 소유 차량을 이용하면 유지보수, 보험처리 일들을 운전자 부담.
    • EC2 인스턴스 : 사용자가 일일이 시간을 투자하여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설치와 버전 관리, 데이터 백업을 해야한다.

      가용성과 내구성이 확보되지 않기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실되거나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확률이 커지며, 후에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를 확장하기 어렵습니다.


2. RDS

  • RDS를 이용하는 것은 렌터카 회사에서 차량을 대여하는 것과 비슷.
    • 대여 차량과 관련하여 시간이 들어가는 일들을 렌터카 회사에서 대신 처리.
    • 운전자는 운전만 하면 되기에 매우 편리.
  • RDS를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유지보수는 RDS에서 전적으로 자동 관리.
  • 사용자가 해야할 일은 초기 설정을 제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 밖에 없다.



3.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 선택지를 제공

  • 실무자는 회사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취사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
  • 일반 사용자는 필요와 목적에 맞게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선택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S3

클라우드 스토리지

인터넷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 컴퓨터 부품으로 비유하면 하드디스크의 역할을 하는 서비스.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의 장점
    • 뛰어난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 웹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저장된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S3 : Simple Storage Service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 S3도 뛰어난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S3 사용 시 얻을 수 있는 이점

1. 높은 확장성

  • 많은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스토리지 규모를 확장/축소할 수 있다.
    • S3에서는 스토리지의 용량을 무한히 확장할 수 있다.
  •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적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



2. 강력한 내구성

  • 스토리지의 내구성이 높으면 저장된 파일을 유실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 S3는 99.999999999%의 내구성을 보장.



3. 99.99%의 가용성 보장

  • 가용성이 높으면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들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진다.
  • S3는 연간 99.99%의 스토리지 가용성을 보장한다.

AWS는 어떤 원리로 해당 서비스들의 높은 가용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걸까요?

  • 리전(Region - 지도 상 주황색 동그라미):
    • AWS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물리적 서버의 위치.
  • 주황색 동그라미 안 숫자: 리전에 위치한 가용영역의 수
    •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각 리전 안에 존재하는 데이터 센터(IDC)
      • 가용 영역은 각각 개별적인 위치에 떨어져서 존재.
      • 한 곳의 가용 영역이 가동이 불가능해지더라도 다른 가용 영역에 백업을 해놓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 없이 서버가 가동



4. 다양한 스토리지클래스를 제공

4-1. Standard 클래스

  • 범용적인 목적으로 사용
  • 데이터에 빠른 속도로 접근
  • 데이터 액세스 요청에 대한 처리 속도가 빠름
  • 데이터를 오래 보관하는 목적으로는 효율적인 선택지가 아님
    • 보관 비용이 높게 발생

4-2. Glacier 클래스

  • 장기적인 보관 목적으로 스토리지를 사용할 때는 Glacier를 사용
  • 저장된 데이터 액세스 속도는 느리지만, 데이터를 보관하는 비용이 저렴.

이 외에도 Standard-IA, One Zone-IA, S3 Glacier Deep Archive 등등 여러 가지 스토리지 클래스가 존재하여 사용자의 이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이 가능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 정적 파일 :
    • 서버의 개입 없이 생성된 파일
  • 동적 파일: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요청에 맞추어 그 자리에서 생성한 파일

웹 호스팅(Web Hosting) :서버의 한 공간을 임대해주는 서비스

  • 웹 호스팅 업체가 제공하는 서버의 한 공간을 빌려서 원하는 서비스를 배포.
  • S3에서는 버킷이 사용자들이 정적 웹 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버킷이라는 저장 공간에 정적 파일을 업로드하고 버킷을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용도로 구성하면 정적 웹 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다.



5-1. 버킷

S3에 저장되는 파일들이 담기는 바구니 (파일을 저장하는 최상위 디렉터리)

  • S3에서 저장되는 모든 파일은 버킷 안에 저장되어야 함.
  • 버킷에는 무한한 양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 버킷의 이름은 버킷이 속해 있는 리전(버킷이 생성된 지역)에서 유일해야 한다.
  • 버킷 정책을 생성하여 해당 버킷에 대한 다른 유저의 접근 권한을 수정할 수 있다.



5-2. 객체

S3에서 버킷에 담기는 파일

객체라고 부를까요?? S3에서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키-값 페어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입니다.

  • S3에 저장되는 객체는 파일과 메타데이터로 구성.
    • 파일 : 키-값 페어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
      • 파일 값: 실제 데이터를 저장.
        • S3 객체의 값으로써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는 최대 5TB.
      • 파일 키: 각각의 객체를 고유하게 만들어주는 식별자 역할.
        • 파일의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객체를 검색할 수 있다.
    • 메타데이터: 객체에 대한 정보가 담긴 데이터.
      • (객체를 설명하는 데이터)
  • 모든 객체는 고유한 URL 주소를 가지고 있다.
    • URL : http://[버킷의 이름].S3.amazonaws.com/[객체의 키]
    • URL 주소를 통해서도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Written with StackEdit.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