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30_Oracle

정희운·2023년 5월 31일
0

DDL

테이블 같은 데이터 저장소 객체를 만들거나 수정한다

SQLD 시험 단골

CREATE

  • 새로운 객체(OBJECT)를 생성

VARCHAR2(n)

  • 문자

문자형 값을 n 바이트까지 입력 받을 수 있는 가변형 문자열

CHAR(n)
문자형 값을 n 바이트까지 입력 받을 수 있는 고정형 문자열
// 잘안씀

NUMBER(N, M)

  • 숫자

DATE

  • 날짜

문법 구조

제약조건

  • !! PRIMARY KEY (PK)
  • !! FOREIGN KEY (FK)

PRIMARY KEY (PK) : NOT NULL + UNIQUE

식별자 규칙을 물리적 모델링 한 것으로 NULL값 입력 불가 , 중복 불가의 특징을 가집니다.

인서트 밸류
: 바인드 변수 틀만 짜 놓으면 입력받은 값을 대입
: q_id
, : Q_CONTENT ;

PRIMARY KEY (PK) : NOT NULL + UNIQUE

특정 컬럼을 식별자로 만들면 자동으로 NOT NULL + UNIQUE 성질로 바뀌게 됩니다.

UNIQUE KEY(UK) : UNIQUE

PRIMARY KEY 와는 다르게 NULL 값을 입력할 수 있게 하며, 중복은 불가능합니다.

CHECK [많이 안씀]

DEL_YN = 요즘엔 데이터를 삭제 하지않고 컬럼을 따로 두어 Y 로 처리
EX)휴면계정

FOREIGN KEY (FK) = 외래키

업로드중..

무결성 =

--현업에서는 FK를 자주 쓰는가 에 대해서는 말이 많음

데이터의 확장성 때문에 수정 에 제한이 있음

꼭 필요할때만 쓰는편

DML -> COMMIT , ROLLBACK 가능
DDL -> 실행 즉시 자동 COMMIT, ROLLBACK 불가
(DROP)은 DDL 이라 실행하면 되돌릴수없음

ALTER 문법

!비중 크지 않음 알아만 두기

테이블/제약조건 삭제

TRUNCATE , DROP , DELETE Cㅏ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