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형 / 리스트형 / 튜플형 / 딕셔너리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딕셔너리형 = {키1:값1, 키2:값2, }
조건문
C 언어에서는
if() 안에 조건이 들어가지않고 값이 들어간다
0이 아니라면 true 로 보기 때문에 식이 실행되게 된다
Swhitch (식)
case 값 :
명령문;
break; - break하지 않으면 아래 case를 실행한다
초기식이 for문 밖에 있을때
for(;조건식;증감식)
for(초기식; ;증감식)
조건식
for(초기식;조건식;)
증감식
for(;;;) 무한루프
break;
모두 오류가 없는 실행되는 식

int a() {
a();
}

. == ->

자바의 this. == 파이썬의 self.
프로시저 = 함수
Class - 설계도
Object - 구현
Instance - 구매.등록
class instace = new class()
// 자바와 C 의 차이

인터프리터 = 한줄한줄 실행하는 방식
비슷한 함수끼리 모은것 -> 모듈(응집도,결합도) -> API|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

윈도우 -> 선점형 멀티태스킹 방식 ->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작업실행

Fetch
반입 기법
메모리로 적재시기 결정
요구 반입
예상 반입
Placement
배치 기법
메모리 어디에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Assign
할당 기법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연속 / 분산
Replacement
교체 기법
메모리 교체 대상 어떤것과 바꿀것인지
FIFO / LRU
Paging - 내부 단편화
Segmention - 외부 단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