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보통 비슷한 맥락에 사용되어 같은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순차적 프로그래밍은 말 그대로 차례로 흘러가는 프로그래밍 구조를 의미한다. 절차적 프로그래밍은 반복될 가능성이 있는 모듈을 재사용 가능한 프로시저의 단위
pandas.DataFrame.plot.pie를 사용하여 pandas에서 바로 pie chart를 그릴 수 있다. bar plot 등도 마찬가지.hue는 오른쪽 위 작은 네모 박스나이 결측치를 채우기 위해 이름의 Mrs, Ms 등을 힌트로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 본인
: Java DataBase Connectivity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해 사용되는 API이다.JDBC 코드를 살펴보자.테이블에 행 하나 삽입하는 데에 아래와 같은 장황한 코드가 필요하다.id로 행 하나 찾는 데에도 다음과 같이 아주 복잡한 코드가 필요하다.
스프링 빈 스프링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의미한다.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자. 스프링 컨테이너 스프링에서 관리되는 모든 클래스, 의존 관계 등이 존재하는 박스?
: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객체지향설계 SOLID 원칙에서 D에 해당하는 원칙으로, 저수준 모듈이 고수준 모듈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 상위 모듈이 하위 모듈에 의존해서는 안 되고 추상화가 세부 사항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쉽게 설명하면 변
https://velog.io/@helenason/SW-dependency위 글에서 의존성과 의존성 주입에 대해 작성해보았다. 해당 개념을 스프링에서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의존성을 주입하기 위해 스프링에서는 보통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한다.컴포넌트 스캔을
의존성이란 모듈 간의 연결이다.클래스 A가 다른 클래스 B를 사용할 때 A는 B에 의존한다고 한다. 때문에 B가 변화하면 A에 영향을 미친다. 위 그림에서 memberController는 memberService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의존한다고 말할 수 있다. mem
: Test-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처음 들어봤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선 개발 후 테스트 방식이 아닐 선 테스트 후 개발 방식의 프로그래밍 방법이라고 한다.즉,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 후 해당 테스트에 통과하기 위한 코
MVC 패턴의 그 controller이다.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지정된 view에 모델 객체를 넘겨준다. 즉 사용자의 요청이 진입하는 지점이며 요청이 들어오면 service에 넘겨준다. Service에서 실질적으로 처리한 내용을 다시 받아 view에 전달한다.Con
데이터의 자료형이나 특성이 이러해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했는지, 그런 특성상 어떤 시각화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는지Male과 Female이 존재하는 Gender열에서 각 성별 별 데이터 수를 비교하고 싶었다. 이를 위해 bar plot의 형태로 시각화를 진
요즘 미세먼지가 너무 심해서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를 분석해보았다.데이터 출처 : 한국환경공단\_도로 재비산먼지 측정 정보\_20230228.csv서울, 경기가 가장 높을 것이라 예상했는데 충북이 가장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하지만 모든 지역을 매일 조사하지 않았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자원(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것)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모든 것자원의 표현(이름)에 의한 상태 전달네트워크 상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HTTP URI를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정의 및 프로토콜 집합을 사용하여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이자 규칙이다. 서로 다른 프로그램끼리 통신을 하는 경우 보통 A
저번주에 공부한 Pandas, 그리고 이번주에 공부한 Matplotlib과 Seaborn을 이용하여 여러 시각 자료를 생성해보았다. 데이터는 titanic과 관련된 csv로, 아래와 같은 정보가 저장되어있는 dataframe을 사용하였다. 1. Pclass 별 탑승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이다. 이를 잘 사용하면 UI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해 유지보수 및 수정이 용이해진다.각 컴포넌트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애플
오랜만에 하는 포스팅.개강을 하고 이것저것 벌려놓은 일이 많아서 열심히 수습 중이다.올해는 뭐라도 저지르자가 목표였는데 그와 동시에 잘 수습하자는 목표가 생겼다.교내 동아리 GDSC의 인공지능 스터디에 참여하게 되어 매주 포스팅할 예정.아래는 Pandas 문서를 정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