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트포스 방식 vs 인덱싱 기반 검색 방식 (벡터 검색에서)

이세준·2025년 8월 4일
0

브루트포스 방식 vs 인덱싱 기반 검색 방식

벡터 검색 시스템의 성능은 "어떻게 가까운 벡터를 빨리 찾아낼 것인가"에 달려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두 가지 대표적인 방식이 바로 브루트포스(naive) 검색인덱싱 기반 검색입니다. 두 방식의 개념과 차이점을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브루트포스(naive) 검색 방식

개념

브루트포스 검색은 말 그대로 "무식하게 다 비교해보는" 방식입니다.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벡터를 하나하나 순회하면서, 쿼리 벡터와의 유사도를 일일이 계산합니다. 그리고 유사도가 가장 높은(거리 기준으로는 가장 가까운) 벡터들을 상위 N개 골라냅니다.

예시

만약 DB에 100만 개의 벡터가 있다면, 쿼리 한 번에 대해 100만 번의 유사도 계산이 필요합니다.

장점

  • 정확도 100%: 모든 벡터를 다 비교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가장 정확한 최근접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단순한 구현: 복잡한 인덱스 구조 없이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단점

  • 매우 느림: 데이터가 수천 개만 넘어가도 속도가 급격히 저하됩니다. 실시간 검색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 비효율적인 리소스 사용: 계산량이 많아 CPU/GPU 자원을 많이 소모합니다.

2. 인덱싱 기반 검색 방식

개념

인덱싱 기반 방식은 모든 벡터를 다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특정 구조(인덱스)를 미리 만들어 놓고 쿼리 시 그 구조를 따라 빠르게 유사한 벡터만 골라내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인덱싱 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IVF (Inverted File Index): 벡터들을 여러 클러스터로 나눈 뒤, 클러스터 중심점과 가까운 것들만 비교
  • HNSW (Hierarchical Navigable Small World): 그래프 기반으로 근접 벡터들끼리 링크를 만들어 탐색 경로를 최적화
  • PQ (Product Quantization): 벡터를 압축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고 계산을 빠르게

예시

100만 개 중에 모든 벡터를 비교하지 않고, 유사할 가능성이 높은 1~2만 개만 선택적으로 비교합니다.

장점

  • 매우 빠름: 인덱스를 통해 검색 속도가 수십~수백 배 이상 향상됩니다.
  • 확장성: 대용량 데이터셋에서도 효율적으로 검색 가능

단점

  • 정확도 손실 가능성: 일부 인덱싱 기법은 근사값 기반이라 정확도가 소폭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설계 복잡성: 인덱스 설계와 튜닝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3. 두 방식의 비교 요약

항목브루트포스 검색인덱싱 기반 검색
정확도높음 (100%)보통 약간 손실 있음 (95~99%)
속도느림빠름
구현 난이도낮음중간~높음
확장성낮음 (작은 데이터셋에 적합)높음 (대규모에 적합)
리소스 효율비효율적효율적

결론

브루트포스 방식은 작고 정밀한 데이터셋에 적합하고, 인덱싱 기반 방식은 대규모 데이터셋에서 빠른 응답 속도를 요구하는 실제 서비스에 적합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벡터 DB(Faiss, Qdrant, Milvus 등)는 두 가지 방식 모두 지원하며, 사용자 요구에 맞게 선택하거나 자동 전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profile
기술정리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