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1/17] 어노테이션 @

Que Lin·2022년 1월 17일
0

1day 1commit

목록 보기
10/63

어노테이션 @

  • 역할을 지정할 때 씀.
  • 스프링이 관리하는 객체
  •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스프링이 해당 클래스를 Spring Bean으로 등록하여 관리해줌
  • 중요! 어노테이션으로 선언하는 모든것들은 어노테이션 아래 한줄만 적용

@Controller

- Controller Class로 사용할 클래스에 붙임
- Controller Class의 역할
    - 주소 요청에 대한 매핑(Request Mapping을 통해서)
    - 비즈니스 로직 처리를 위해 Service Class 호출
    - 처리결과에 따라 브라우저에 띄울 jsp 리턴

@Service

- Service Class로 사용할 클래스에 붙임
- Service Class의 역할
    - Controller로 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대한 처리(비즈니스 로직(Business Logic)
    - DB작업이 필요하면 Repository Class 호출
    - 처리결과를 Cotroller Class로 리턴

@Repository

- Repository Class로 사용할 클래스에 붙임
- Repository Class의 역할
    - 쿼리를 수행할 mybatis 함수 호출
    - 처리결과를 Serivce Class로 리턴

@RequestMapping

- 주소를 받는 어노테이션
- 주소 요청이 있을 시 @RequestMapping이 붙은 메서드중에 일치하는 내용의 주소를 출력

@RequestParam

- 하나의 값을 가져올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 단 하나의 값을 가져오기 때문에 여러개의 값을 가져오려면 갯수에 맞게 써야함

@ModelAttribute

- 보내는 모든 정보를 받을 때 쓰는 어노테이션
- *@RequestParam*보다 코드를 간소화 시킬 수 있어 편리함

@ResponseBody

- ajax를 사용해 비동기 처리방식을 할 때 리턴으로 주소를 출력하는 것이 아닌 String 값 자체를 리턴
- 생성자 타입 앞에 씀

@Autowired

- new로 객체를 만들면 그 공간만큼 데이터를 차지하기 때문에 가볍게 만들고자 사용
- class 주입이라고도 함
profile
1일 1커밋 1일 1벨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