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B
LOB은 TEXT,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 사운드 등 구조화되지 않은 대형 데이터를 저장 목적
종류 : CLOB, BLOB, BFILE
BLOB, CLOB 차이점
BLOB
이진 대형 객체 (Binary), 이미지, 동영상, MP3 등...
비 전통적인 데이터 보관용
이진형 대용량 객체
CLOB
문자 대형 객체 (Character), Oracle Server는 CLOB과 VARCHAR2 사이에 암시적 변환을 수행
문자 기반 데이터 보관용
문자형 대용량 객체 고정길이와 가변길이 문자집합 지원
출처: https://javaoop.tistory.com/73 [개쿠]
글번호, 글제목, 글내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과 같은 정보를 입력한다.
CREATE TABLE BOARD (
board_no NUMBER,
board_title VARCHAR2(200),
board_content CLOB,
board_writer VARCHAR2(200)
board_views NUMBER,
board_date DATE
);
예를 들면 이렇게 입력하게 되는데, 그 전에는 content 타입을 VARCHAR2(2000) 이런 식으로 했다면, VARCHAR2 대신에 CLOB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LOB 데이터 타입
NCLOB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문자형 대용량 객체
BFILE 대용량 이진 파일에 대한 위치,이름 저장
LOB이란 Large Object의 약자로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일반적으로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등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할때 L,OB타입을 사용합니다. 문자형 대용량 데이터는 CLOB나 NCLOB, 그래픽, 이미지, 동영상등의 데이터는 BLOB를 주로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