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프린터

승헌·2022년 3월 8일
0

(문제링크)

문제

일반적인 프린터는 인쇄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인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문서가 나중에 인쇄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도가 높은 문서를 먼저 인쇄하는 프린터를 개발했습니다. 이 새롭게 개발한 프린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합니다.

  1. 인쇄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J)를 대기목록에서 꺼냅니다.
  2. 나머지 인쇄 대기목록에서 J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한 개라도 존재하면 J를 대기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넣습니다.
  3. 그렇지 않으면 J를 인쇄합니다.

예를 들어, 4개의 문서(A, B, C, D)가 순서대로 인쇄 대기목록에 있고 중요도가 2 1 3 2 라면 C D A B 순으로 인쇄하게 됩니다.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위의 예에서 C는 1번째로, A는 3번째로 인쇄됩니다.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priorities와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현재 대기목록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loca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현재 대기목록에는 1개 이상 100개 이하의 문서가 있습니다.
  • 인쇄 작업의 중요도는 1~9로 표현하며 숫자가 클수록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 location은 0 이상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작업 수 - 1) 이하의 값을 가지며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으면 0, 두 번째에 있으면 1로 표현합니다.

입출력 예

prioritieslocationreturn
[2, 1, 3, 2]21
[1, 1, 9, 1, 1, 1]05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문제에 나온 예와 같습니다.

예제 #2
6개의 문서(A, B, C, D, E, F)가 인쇄 대기목록에 있고 중요도가 1 1 9 1 1 1 이므로 C D E F A B 순으로 인쇄합니다.

풀이

  1. 인쇄 작업을 수행한 뒤에도 원래 인덱스를 알 수 있도록, [우선순위, 인덱스]로 구성된 배열을 만든다.
  2. 인쇄작업 수행순서를 정한다.
    while문을 통해 배열의 요소를 하나씩 빼서 중요도가 높은 문서라면 빼고,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아니라면 다시 배열 뒤쪽으로 넣어준다.
  3. 정해진 수행순서에서 location와 같은 요소의 인덱스+1을 반환한다.
  • prior 배열을 만든 이유

인쇄 순서를 정하려면, 나머지 인쇄 대기목록에서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prior 배열을 만들어 전체 우선순위 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알 수 있도록 했다.

만약 현재 인쇄하려는 문서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졌다면 prior 배열의 가장 앞에 위치할 것이다.
그럼 현재 인쇄문서의 우선순위와 prior 의 첫번째 요소를 비교해서 인쇄할지 뒤로 미룰지를 정하면 되는 것이다.
만약, 인쇄하기로 했다면 prior의 가장 앞 요소를 제거해서 다음에도 제대로 우선순위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해준다.

소스코드

function solution(priorities, location) {
    let priorLoc = priorities.map((v,i) => [v, i]); // [우선순위, 인덱스]
    let prior = priorities.sort((a, b) => b-a); // 우선순위를 내림차순 정렬
    
    // 인쇄작업 수행순서
    let answer = [];
    while (priorLoc.length > 0) {
        let num = priorLoc.shift();
        if (num[0] < prior[0]) {
            priorLoc.push(num);
        } else {
            prior.shift();
            answer.push(num[1]);
        }
    }
    
    return answer.indexOf(location)+1;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