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연결하기 (Route53)

Yejin Heo·2025년 7월 21일
0

AWS

목록 보기
4/5

Route53 이란?

  • 도메인 발급&관리
  • DNS (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시스템이 생기기 전, 특정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 IP주소를 사용했는데 IP주소는 많은 숫자들로 이루어져있어 일일히 외우기 어려워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자를 IP주소로 변환해주는 하나의 시스템이 생기게 되었는데, 그것이 DNS이다.

현업에서는 Route53 사용 여부

현업에서는 무조건적으로 AWS Route53을 고집하지 않는다.
가비아(gabia), 후이즈(whois) 등 도메인을 구매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여러 서비스가 존재하며, 각 서비스마다 구매할 수 있는 도메인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가 원하는 도메인이 존재하는 곳의 DNS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Route53 도메인을 EC2에 연결

  • 호스팅 영역 - 레코드 생성
    • [레코드 이름]을 설정해주면 하나의 도메인으로 여러 개의 서브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음
    • [값] 내용에 이전에 생성해둔 인스턴스 IP주소를 적어주면 구매한 도메인으로 접속했을 때 해당 IP주소로 연결시켜줌
    • [레코드 유형]
      • A 레코드: 도메인을 특정 IPv4 주소에 연결시키고 싶을 때 사용
      • CNAME 레코드: 도메인을 특정 도메인주소에 연결시키고 싶을 때 사용
        ex) 만약 CNAME 레코드의 값으로 www.naver.com을 적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했을 때, www.naver.com으로 연결되어 이동한다.
profile
예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