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emove, pop, del 차이점

  • remove : 파이썬리스트 값으로 제거(ex : remove('없애고 싶은 값 넣기')
  • pop : 파이썬리스트 인덱스로 제거(ex : pop(index 넣기)
  • del : del 에 의한 파이썬리스트 제거(ex : del[0:], del[0::2])

2. fstring

  • f-string 포매팅은 파이썬 버전 3.6 부터 사용가능.
  • print(f'2020년 {변수이름 입력 가능}월')
  • 왼쪽정렬 print(f'|{"안녕하세요":<10}|')
  • 가운대 print(f'|{"안녕하세요":^10}|)

3. Call by Object Reference

  • 파이썬은 모든것이 객체입니다.

  • 객체는 어떠한 속성값과 행동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입니다.

  • 파이썬의 모든것들(숫자, 문자, 함수 등)은 여러 속성과 행동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입니다.

  •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해결해야하는 문제를 실제 세상에서 처럼 다양항 정보들을 가진 객체들로 표현하고, 그 객체들간 통신으로 해결하는 기법입니다.

  • Call by Value: 값 복사 ==> C언어
    1)pass by value: 값
    2)pass by pointer: 포인터 -> call by reference와 유사 (동일하지는 않음)
    3) Call by Value는 원본의 내용을 함수 내부에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Call by Reference: reference 복사 ==> JAVA

  • 파이썬은 특이하게 위의 두 경우 모두에 해당하지 않고 객체의 reference를 넘겨준다.

  • 아래 사진을 보면 f 의 값을 함수로 넘겨서 바꾸어도 f메인 문의 f는 바뀌지 않는다.

  • f는 객체이다. 객체의 주소를 보냈는데, i 값에 10이라는 새로운 객체를 넣었기 떄문에, 메인 문에 있는 f의 값이 바뀌지는 않는다.

  • 배열 같은 경우엔, 배열의 객체 주소를 넣어주기떄문에, 객체의 [0] 값만 바꾼다고 하면, 객체의 주소를 건드리지 않아서 바뀔수 잇게 된다.

    4. 파이소닉

  1. result = [i for i in range (10)]
    이런형태가 가능하다...;;;
  2. result = []
    for i in range (10)
    	result.append(I)

    2번 코드보다 1번 코드가 더 빠른데, 이유는 append를 할떄, 리스트 result의 할당 해둔 범위를 벗어나면, 메모리를 새로 할당하고 다시 저장하는 형태로 append가 사용되기 떄문에 속도가 더 느리다고 한다.

    5. enumerate

    6. self

    class밖에서는 class로 생성된 인스턴스로 불리고 , class 안에서는 본인 class(객체)를 self로 이야기 한다.

    7. 키 코드

    윈도우는 cp90 , vs코드는 utf8

선형대수, (미적분, 통계학) -> 수리통계, 해석학
보면 좋음.

수학을 잘하는 학생보다 코딩을 잘하는 학생을 원함.
수학 말고 = 컴퓨터 : 데이터 사이언스, os, 코딩
그외 : exel , 데이터 베이스(모델링)

8. 캐글

캐글은 2010년 설립된 예측모델 및 분석 대회 플랫폼이다. 기업 및 단체에서 데이터와 해결과제를 등록하면, 데이터 과학자들이 이를 해결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경쟁한다. 2017년 3월 구글에 인수되었다

9. 하둡

하둡 분산형 파일시스템(Hadoop Distributed FileSystem, HDFS)
하둡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형 파일시스템

10. 파이토치

파이토치(Pytorch)는 파이썬(Python) 기반의 오픈 소스 머신러닝 라이브러리로, 페이스북 인공지능 연구집단에 의해 개발되었다. 간결하고 구현이 빨리 되며, 텐서플로우보다 사용자가 익히기 훨씬 쉽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코드를 직접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해 주기에도 효과적이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