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코테 준비하며, 몰랐던거 정리중. (자료구조,

이호용·2021년 3월 1일
0

프로그래머스

목록 보기
2/22

라인코테 준비

1. day

c++ 자료구조

2. day2

프로그래머스 1단계
1. 서울 김서방 문제

answer += to_string((find(seoul.begin(), seoul.end(), "Kim") - seoul.begin()));
  • find를 통해, 벡터에서 "Kim" 값의 인덱스를 구할수 있다. (seoul.begin(), 을 뺴주어야 인덱스 값임)
  • 정수를 문자열로 바꾸는데, to_string이 사용된다.(c에서 atoi와 같음)
  1. set

3. day3

  1. 시저암호

    • 나는 움직여야할 인덱스만 구하는 공식 세워서, 풀었는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풀었는지 확인해보기.
  2. 제일 작은수 제거

    arr.erase(find(arr.begin(),arr.end(), min))
    • 2일차 김서방에서 to_string안에 find를 쓸때랑 좀 다르다.
    • 다음에 find 리턴값이 뭔지 명확히 확인해보기.
  3. sort

    • 세진님이 sort 세번쨰 인자에 람다쓰는걸 알려주셨다.
    • 람다 앞에 [&n] 또는 [n] 또는 [n,a,b] 이런식으로 다양한 형태로 매게변수를 넘겨 줄수 있다.
        // auto comp = [n](string a, string b){
    //     if(a[n] == b[n]){
    //         return a < b;
    //     }
    //     else{
    //         return a[n] > b[n] ? false : true;
    //     }        
    // };    
    // sort(answer.begin(), answer.end(), comp);
    sort(answer.begin(), answer.end(), [&n](string a, string b){
        if(a[n] == b[n]){
            return a < b;
        }
        else{
            return a[n] > b[n] ? false : true;
        }        
    });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