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전의 4단원은 변수와 상수에 관한 내용으로 기억할만하다고 생각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넘어간다. (해당 본문 링크: https://ko.javascript.info/variables)
변수명을 짓는 규칙으로
1. 변수명 맨 앞에 숫자를 두면 안된다.
2. 예약어 (ex. function, let...)를 쓰면 안된다.
3. 기호는 _와 $만 올 수 있다.
정도가 있다. 그리고 const 를 사용하면 let, 이제는 쓰지 않는 var 와는 다르게 상수를 정의 할 수 있는데 대문자 상수를 쓰는 경우가 있다.
추가적으로 '함수형'언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등장했는데 함수형 언어 (ex. 스칼라, 얼랭(Erlang)) 에서는 한 번 사용한 변수는 재사용 할 수 없어 중대한 프로그램을 만들 때 적합하다고 한다.
5) 자료형 : https://ko.javascript.info/types
자료형에 대한 내용은 bigint, number, string 등 자료형에 대한 설명이 있었고 null, undefined 같은 자료형에 대한 얘기도 있었다.
숫자 연산이 잘못되면 NaN (not a number) 를 뱉는다.
어떤 변수, 객체의 타입을 알아보기 위한 명령어로 typeof가 있는데 typeof x 혹은 typeof(x)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인 내용들이라서 따로 정리하지는 않고 넘어가려 한다.)
6) alert, prompt, confirm : https://ko.javascript.info/alert-prompt-confirm
alert 함수는 alert('원하는 내용');
형식으로 작성한다.
이 함수를 실행시키면 함수 내부에 작성한 문자열 내용이 기입된 팝업창이 나타난다.
propmpt 함수는 prompt('내용', [기본값]);
형식으로 작성한다.
기본값을 대괄호로 감싼 것은 생략이 가능한 값이기 때문이다.
이 함수를 실행시키면 '내용'이 기입되고 그 내용 아래에 입력창(prompt창)이 달린 팝업창이 나타난다.
기본값을 입력하면 팝업의 입력창에 그 기본값이 기입된 채로 나타난다.
let age = prompt('나이를 입력해주세요.', 100);
alert(`당신의 나이는 ${age}살 입니다.`); // 당신의 나이는 100살입니다.
위와 같이 작성하면
1. 나이를 입력하라는 팝업창이 뜨고
2. 입력한 나이를 '당신의 나이는 입력한나이 입니다.' 라는 문구가 적힌 팝업창이 동작한다.
(Internet Expolre를 사용한다면 생략 가능한 기본값을 '' 이렇게 빈값으로라도 반드시 적어줄 것을 권장한다.)
confirm 함수는 confirm('입력할 내용');
형식으로 작성하는데 해당 함수를 실행하면 함수에 기입한 내용과 함께 '확인, 취소' 버튼이 있는 팝업창이 발생한다.
해당 팝업창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은 true 를,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혹은 Esc 키를 누른다면 팝업은 false를 반환한다.
let isBoss = confirm("당신이 주인인가요?");
alert( isBoss ); // 확인 버튼을 눌렀다면 true가 출력됩니다.
위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