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객체지향 문법의 시작. 객체에 대해 이해하고, 클래스/인스턴스/레퍼런스 변수 등 필수적인 개념에 대해 정확히 짚고 넘어가자!

Java 클래스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자판기를 만들어보며 객체지향문법에 대해 이해한다.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과 메소드의 기본 개념을 익히자.

메소드 선언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김영한 자바 로드맵 따라갈 예정. 입문 강의에서는 필요한 내용 위주로 골라들을 것이다. 최대한 빠르게 훑는 느낌으로! IDE는 기존 사용한 Eclipse 대신 IntelliJ를 사용한다. 강의 수강한 것 기록하는 형식으로 남기려고 한다. 자바란? 자바 표준 스펙 자바

정수 - int, long : 자바는 정수에 기본으로 int 사용. 20억 넘을 것 같으면 long 쓰면 됨.파일을 다룰 때는 byte 사용실수 - double불린형 - boolean : true, false 표현. 조건문에서 자주 사용문자열 - String 규칙 지키

\+ (더하기)\- (빼기)\*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10 / 0 과 같이 숫자는 0으로 나눌 수 없다. (수학에서 허용하지 않음)방금 예제에서 변수 b=0 을대입하면 5/0 이된다.이경우 프로그램에 오류가 발생한다.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예외를 확인할

if 문은 특정 조건이 참인지 확인하고, 그 조건이 참( true )일 경우 특정 코드 블록을 실행한다.else 문은 if 문에서 만족하는 조건이 없을 때 실행하는 코드를 제공한다.else if 문은앞선 if 문의 조건이 거짓일 때 다음 조건을 검사한다. 만약 앞선 i

반복문은 너무 익숙하니까 내용만 진짜 간단히 정리하고 넘어가자.do-while 문은 while 문과 비슷하지만, 조건에 상관없이 무조건 한 번은 코드를 실행한다.break 와 continue 는 반복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다.break 는 반복문을 즉시 종료하고

필요한 내용만 정리.유지/보수하기 좋은 코드를 짜기 위해 꼭 알아야 한다. 위 코드는 좋은 코드라고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임시 변수 temp 는 if 내에서만 임시로 잠깐 사용하는 변수인데, main() 코드 블록에 선언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System.out 을 통해서 출력을 했듯이, System.in 을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자바가 제공하는System.in 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받으려면 여러 과정을 거쳐야해서 복잡하고 어렵다.자바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canner 라는 클래

자바의 변수 데이터 타입을 가장 크게 보면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하는 값을 직접 넣을 수 있는 기본 형, 그리고 방금 본 배열 변수와 같이 메모리의 참조값을 넣을 수 있는 참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기본형(Primitive Type): 지금까지 봤던

자바에서는 함수를 메서드(Method)라 한다.인수라는 용어는 '인’과 '수’의 합성어로, '들어가는 수’라는 의미를 가진다. 즉, 메서드 내부로 들어가는 값을 의미 한다. 인자도 같은 의미이다.매개변수, parameter는 '매개’와 '변수’의 합성어로, '중간에서

실무에 필요한 객체지향의 핵심 개념 제대로 이해하는 게 목표! 클래스와 데이터 프로젝트 환경 구성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Main 파일을 실행한다. 클래스가 필요한 이유 자바 세상은 클래스와 객체로 이루어져 있다. 클래스와 객체라는 개념이 왜 필요한지 부터

기본형과 참조형 기본형 vs 참조형1 - 시작 자바에서는 참조형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가장 크게 기본형, 참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하는 값을 변수에 직접 넣는 기본형, Stuent student1과 같이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가리키는 참조값을 넣을 수 있는 참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참조형은 객체 또는 배열에 사...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1 - 시작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vs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방식의 종류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이름 그대로 절차를 지향한다. 실행 순서를 중요하게 생각 프로그램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따르며 처리한다. 즉, '어떻게'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한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이름 그대로 객체를 지향한다. 객체를 중요하게 생각 실제 세...

생성자 - 필요한 이유 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어떤 작업을 하고 싶다면 생성자(Constructor)를 이용하면 된다. 위 코드는 회원의 초기값 설정하는 부분이 계속 반복되기 때문에 메서드를 사용해서 반복을 제거해본다. initMember 메서드를 사용해서 반복을 제거했다. 이 메서드는 MemberInit 객체의 멤버 변수를 사용한다. 이것보다, Mem...

패키지 - 시작 클래스들을 관련 있는 기능들끼리(카테고리화) 분류해서 관리하는 개념을 패키지라고 한다. 패키지 사용 패키지를 사용하는 경우 항상 코드 첫줄에 package pack과 같이 패키지 이름을 적어줘야 한다. pack 하위에 a라는 패키지를 먼저 만들자. pack.a 패키지에 User 클래스를 만들었다. c.f 생성자에 public 을 사용...
여러가지 다양한 데이터 소스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표준화배열, 리스트, 집합 등 다양한 데이터에 동일한 데이터 처리 적용 가능데이터 소스 => 스트림 생성 => 중간 처리 => 최종 연산모든 연산은 최종 연산 시 한 번에 이뤄진다.중간 처리와 최종 연산 시

error : Java class, interface, or enum expected자바 프로그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파일 오류 메시지 중 하나이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 발생한다. 클래스나 인터페이스 등의 정의가 패키지 내에 위치하지 않고 있을 때 발생J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