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916 Python #4

김혜진·2022년 9월 16일
0

Python

목록 보기
3/24

Python #4

nNum = 100
strNum1 = input('첫 번째 숫자 : ')
strNum2 = input('두 번째 숫자 : ')
total = nNum + int(strNum1)
print('두 수의 합 : ' + str(total) + '입니다.' )

출력결과
첫 번째 숫자 : (10)
두 번째 숫자 : (20)
두 수의 합 : 110입니다.

strNum1 = input('첫 번째 숫자 : ')
strNum2 = input('두 번째 숫자 : ')
total =  int(strNum1) + int(strNum2)
print('두 수의 합 : ' + str(total) + '입니다.' )

첫 번째 숫자 : (10)
두 번째 숫자 : (20)
두 수의 합 : 30입니다.

nNum은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이 int로 정해지지만,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이 되면 문자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강제형변환을 해준다.


주석 사용하기

  • 주석 : # , '''
fruit1 = '수박'
fruit2 = '포도'
fruit3 = '키위'
myfavorite = '' #좋아하는 과일의 목록

myfavorite = myfavorite + fruit1
myfavorite = myfavorite + fruit2
myfavorite = myfavorite + fruit3

print('내가 좋아하는 과일은 ' + myfavorite + '입니다')

출력결과 내가 좋아하는 과일은 수박포도키위입니다

fruit1 = '수박'
fruit2 = '포도'
fruit3 = '키위'
myfavorite = '' #좋아하는 과일의 목록

# myfavorite = myfavorite + fruit1
# myfavorite = myfavorite + fruit2
myfavorite += fruit3

print('내가 좋아하는 과일은 ' + myfavorite + '입니다')

값이 누적돼서 출력되는 것을 주석으로 막으면 출력되지 않는다.


연산자

  • 변수의 데이터들이 정적인 요소들이었다면, 연산자는 데이터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는 역동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 의미없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의미있는 데이터를 만들어낸다.


    파이썬에서 **, //이 추가되었음.
    a**n = a의 n승
num1 = 5
num2 = 3

print("두 수의 합 : " + str(num1 + num2) + "입니다.")
print("두 수의 차 : " + str(num1 - num2) + "입니다.")
print("두 수의 곱 : " + str(num1 * num2) + "입니다.")
print("두 수의 나누기 : " + str(num1 / num2) + "입니다.")
print("두 수의 나머지 : " + str(num1 % num2) + "입니다.")
print("두 수의 제곱수 : " + str(num1 ** num2) + "입니다.")
print("두 수의 나눈 몫의 소수점 버린 수 : " + str(num1 // num2) + "입니다.")

출력결과
두 수의 합 : 8입니다.
두 수의 차 : 2입니다.
두 수의 곱 : 15입니다.
두 수의 나누기 : 1.6666666666666667입니다.
두 수의 나머지 : 2입니다.
두 수의 제곱수 : 125입니다.
두 수의 나눈 몫의 소수점 버린 수 : 1입니다.


대입 연산자

num1 **= num2  # num1 = num1  ** num2
print("결과 : " + str(num1) + "입니다.")

num1 = num1 // num2
print("결과 : " + str(num1) + "입니다.")

출력결과
결과 : 125입니다.
결과 : 41입니다.


money = input('돈을 넣어주세요 : ') # 문자열
count = input('몇 장을 드릴까요? : ')

ticket = 1200 # 정수

money = int(money) - ticket * int(count)
print('거스름 돈 : ', money)

출력결과
돈을 넣어주세요 : (3000)
몇 장을 드릴까요? : (2)
거스름 돈 : 600

타입이 다를 때는 콤마로 구분을 한다.

money = int(input('돈을 넣어주세요 : ')) 
count = int(input('몇 장을 드릴까요? : '))

ticket = 1200 

money = money - ticket * count
print('거스름 돈 : ', money)

타입을 선언 시 정해주어도 된다.


관계 연산자

  • 두 개의 피연산자로 관계를 따져 결과가 True, False가 리턴된다.
a = 10
b = 11
c = 12
d = 10

print('a == b의 결과 :', a == b)
print('a < b의 결과 : ', a < b)

출력결과
a == b의 결과 : False
a < b의 결과 : True


논리 연산자

  • 두 개의 조건식을 결합하여 하나의 결과값을 만들어낸다.

not = C언어에서는 !
and = C언어에서는 &&
or = C언어에서는 ||

print('not(a < 10)의 결과 : ', not(a < 10))
print('(a < b) and (a > c)의 결과 : ', (a < b) and (a > c))
print('(a >= c) or (a == d)의 결과 : ', (a >= c) or (a == d))

출력결과
not(a < 10)의 결과 : True
(a < b) and (a > c)의 결과 : False
(a >= c) or (a == d)의 결과 : True


3항 연산자

3항 연산자의 형태

  • condition이 True이면 and 뒤가 수행되고, False이면 or 뒤가 수행된다.
condition and a or b

예제

money = input('돈을 넣어주세요 : ')
count = input('몇 장을 드릴까요? : ')

ticket = 1200

money = int(money) - ticket * int(count)
result = money < 0 and '잔액이 부족합니다. 금액을 투입해주세요' or '거스름돈 : ' + str(money) 

print(result)

출력결과
돈을 넣어주세요 : (1000)
몇 장을 드릴까요? : (100)
잔액이 부족합니다. 금액을 투입해주세요

profile
알고 쓰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