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6에서 도입된 순회 가능한 자료구조를 만들기 위해 ECMAScript 사양에 정의하여 미리 약속한 규칙이다. ES6 이전의 순회 가능한 자료구조들은 통일된 규약 없이 각자 나름의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방법으로 순회할 수 있었다.
ES6에서는 순회가능한 자료구조를 이터러블로 통일하여 for..of문, 스프레드 문법, 배열 디스트럭처링 할당(구조분해할당)의 대상으로 사용가능하게 일원화했다.
이터레이션 프로토콜에는 이터러블 프로토콜과 이터레이터 프로토콜이 있으며 각각의 프로토콜에 만족하는 애들을 이터러블과 이터레이터라고 한다.
이터러블: Symbol.iterator를 프로퍼티 키로 사용한 메소드를 직접 구현하거나 프로토타입체인을 통해 상속 받은 Symbol.iteraotr 메소드를 호출했을때 이터레이터 인스턴스가 반환되었을 때 해당 객체는 이터러블이다.
이터레이터: 이터러블이 Symbol.iterator 메소드를 호출해 반환된 이터레이터가 next 메소드를 소유하고, next 메소드를 호출하면 이터러블을 순회하며 value와 done 프로퍼티를 갖는 이터레이터 결과 객체를 반환할 때 이것을 이터레이터라고한다.

이터러블을 순회할때 이터레이터 결과(done) 값이 false가 나와야 계속 순회를 진행하고 true가 나올때 순회를 멈춘다.
이터러블,이터레이터를 말할때는 for ... of문이 항상 같이 온다. for ... of문과 for ... in 의 차이점부터 생각하고 들어가자.
먼저 for ... in 문은 프로토타입의 프로퍼티에 어트리뷰트 [[Enumerable]]의 값이 true인 프로퍼티를 순회하며 열거한다. for ... in문은 열거형 속성이기때문에 프로퍼티가 Symbol인 비열거형 속성을 열거하지않는다.
for ... of 문은 내부적으로 이터러블의 Symbol.iterator 함수를 호출하여 for .. of 반복문을 통해 next함수가 호출되며 done이 false일때 순회하고 true일때 순회를 종료한다. 즉 비열거형 객체를 순회하기 위해 사용한다.
결국 for in 반복문 : 열거 가능한 속서을 갖고 있는 객체를 순회할때 쓴다.
for of 반복문 : [symbol.iterator] 비열거형 속성을 가지는 컬렉션을 순회할때 사용한다.
이터러블을 얘기하면 유사배열객체도 빠질 수 없다.
유사 배열 객체는 배열처럼 인덱스로 프로퍼티 값에 접근할 수 있고 length 프로퍼티를 갖는 개체를 말한다.
let arrayLike = {
0:"안녕",
1:"하이",
length:2
}
이터러블과 유사 배열 객체는 배열이 아니기 때문에 push,pop과 같은 배열용 메서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들을 처리하려면 ES6에 도입된 Array.from 메소드를 사용하면 이터러블과 유사 배열 객체를 배열로 만들어준다.
참조 : https://velog.io/@thumb_hyeok/%EC%9E%90%EB%B0%94%EC%8A%A4%ED%81%AC%EB%A6%BD%ED%8A%B8%EC%9D%98-%EC%9D%B4%ED%84%B0%EB%9F%AC%EB%B8%94
https://jsdev.kr/t/for-in-vs-for-of/2938
https://inpa.tistory.com/entry/JS-%F0%9F%93%9A-%EC%9D%B4%ED%84%B0%EB%9F%AC%EB%B8%94-%EC%9D%B4%ED%84%B0%EB%A0%88%EC%9D%B4%ED%84%B0-%F0%9F%92%AF%EC%99%84%EB%B2%BD-%EC%9D%B4%ED%95%B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