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명령어 정리 하기 5-1 (reset)

코딩아재·2021년 11월 21일
0

Git 명령어 정리

목록 보기
5/13
post-thumbnail

안녕하세요!
Git 명령어 정리하기 5-1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reset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 하겠습니다.

출처: learngitbranching


Git에서 작업 되돌리기

Git에는 작업한 것을 되돌리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변경내역을 되돌리는 것도 커밋과 마찬가지로 2가지가 있습니다.

  1. 낮은 수준의 일(개별 파일이나 묶음을 스테이징 하는 것)
  2. 높은 수준의 일(실제 변경이 복구되는 방법)

여기서는 2번 실제 변경이 복구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Git에서 변경한 내용을 되돌리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1. git reset
2. git revert

다음 화면에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Git 리셋(reset)

git reset은 브랜치로 하여금 예전의 커밋을 가리키도록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변경 내용을 되돌립니다.
이런 관점에서 "히스토리를 고쳐쓴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git reset은 마치 애초에 커밋하지 않은 것처럼 예전 커밋으로 브랜치를 옮기는 것입니다.

예제

명령어: git reset HEAD~1

결과

main 브랜치가 가리키던 커밋을 C1로 다시 옮겼습니다 이러면 로컬 저장소에는 마치 C2커밋이 아예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 상태가 됩니다.

profile
코딩하는 아재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