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X에서 <br/>태그를 사용하면, 적용되지 않은 채 문자열 그대로 렌더링 된다. React는 무조건 텍스트형태로만 페이지를 렌더링하도록 설계되어있기 때문이다.
더미데이터를 만들어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해보고, map()을 이용해 더 계층적인 컴포넌트로 리팩토링 해보면서 느낀점들.
CSS, React 라이브러리 및 템플릿을 component화 시켜 예발자닷컴 메인 페이지를 반응형으로 디자인했다.
사용자가 알 필요가 없는 데이터를 내부에서 은닉하는 것. 즉, 캡슐화를 통해 코드를 리펙토링 하는 것이 좋은 사용성을 만드는 핵심이다.
마치 HTML 태그의 속성처럼, 한 컴포넌트의 요소에 props value를 지정하면 다른 컴포넌트에서 그 value에 값을 넣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pp.js 파일의 App 컴포넌트 구조를 참고해 새로운 컴포넌트를 만들고, 파일로 분리해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