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nent Driven Development(CDD)
기획자로부터 하나의 페이지 기획이 도착했고,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협력하여 디자인과 개발이 진행되었습니다.
페이지가 모두 완성되었는데, 다른 페이지에 적용되는 버튼에 대한 추가적인 기획안이 도착했습니다.
그런데 기획자가 요청한 사항에서 버튼에 대한 기획이 이전에 요청받았던 버튼을 똑같이 사용하도록 요청했습니다.
굳이 버튼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재사용할 수 있는 같은 UI 컴포턴트를 만들면 됩니다.
레고처럼 조립해 나갈 수 있는 부품 단위로 UI 컴포넌트를 만들어 나가는 개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CDD를 활용한 개발 방법은 컴포넌트 단위로 만들어 페이지를 조립하는 개발 방식인 상향식 개발에 가깝습니다.
이러한 개발방법을 Component Driven Development(CDD) 라고 합니다.
<CDD방법을 이용하여 UI를 구축한 사이트 예시>
BBC, UN
인터넷이 만들어진 이후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들은 다양한 환경(디바이스)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개발자들의 CSS 작성 방식도 꾸준히 진화해 오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규모나 복잡도가 점점 커지고 함께 작업해야 할 팀원 수도 많아짐에 따라 CSS를 작성하는 일관된 패턴이 없다는 것은 개발자들에게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또한 모바일이나 태블릿을 비롯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등장으로 웹사이트들이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커버해야 하기 때문에 CSS는 더 복잡해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CSS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구조화된 CSS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CSS를 구조화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졌습니다.
CSS가 구조적으로 작성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우리가 흔히 CSS 문서를 작성할 때는 많은 반복적인 작업을 요구하고 Color 값을 찾는 일, tag를 닫는 일 등 번거로운 작업 역시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클래스의 상속과 같은 사항으로 점점 CSS 문서는 양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이후 유지관리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이런 CSS의 문제점들을 프로그래밍 개념(변수, 함수, 상속 등)을 활용하여 해결해 나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CSS 전처리기(CSS Preprocessor) 자체만으로는 웹 서버가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 CSS 전처리기에 맞는 Compiler를 사용해야 하고 컴파일을 하게 되면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CSS 문서로 변환이 됩니다.
이를 통해 CSS 파일들을 잘 구조화할 수 있게 되었고, 최소한 CSS 파일을 몇 개의 작은 파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겼습니다.
CSS 전처리기 중에서 가장 유명한 SASS는 Syntactically Awesome Style Sheets의 약자로 CSS를 확장해 주는 스크립팅 언어입니다.
즉, CSS를 만들어주는 언어로서 자바스크립트처럼 특정 속성(ex. color, margin, width 등)의 값(ex. #ffffff, 25rem, 100px 등)을 변수로 선언하여 필요한 곳에 선언된 변수를 적용할 수도 있고,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의 선언으로 여러 곳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등의 기능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SASS는 SCSS 코드를 읽어서 전처리한 다음 컴파일해서 전역 CSS 번들 파일을 만들어 주는 전처리기(preprocessor)의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SASS가 ‘CSS의 구조화’를 해결해 주는 것의 장점보다 다른 문제들을 더 많이 만들어낸다는 것이 밝혀집니다.
결국 우리는 전처리기(preprocessor)가 내부에서 어떤 작업을 하는지는 알지 못한 채, 스타일이 겹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계층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에 의지하게 되었고, 그 결과 컴파일된 CSS의 용량은 어마어마하게 커지게 되었습니다.
CSS 전처리기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BEM, OOCSS, SMACSS 같은 CSS 방법론이 대두
<방법론의 공통 지향점>
CSS 방법론들은 같이 일하는 팀 동료들의 팀워크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여러 팀원이 함께 작업하는 상황에서 CSS 작성에 있어서 방법들을 규칙으로 정해두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
BEM이란 Block, Element, Modifier로 구분하여 클래스명을 작성하는 방법이며, Block, Element, Modifier 각각은 —와 __로 구분합니다.
클래스명은 BEM 방식의 이름을 여러 번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HTML/CSS/SASS 파일에서도 더 일관된 코딩 구조를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론들에서도 문제점이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클래스명 선택자가 장황해지고, 이런 긴 클래스명 때문에 마크업이 불필요하게 커지며, 재사용하려고 할 때마다 모든 UI 컴포넌트를 명시적으로 확장해야만 했습니다.
또한 SASS와 BEM도 고치지 못했던 몇 가지 문제들은 언어 로직 상에 진정한 캡슐화(encapsulation :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하나로 묶고 실제 구현 내용 일부를 외부에 감추어 은닉하는 개념)의 개념이 없다는 것이었고, 이로 인해 개발자들이 유일한 클래스명을 선택하는 것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 방향이 진화하면서 컴포넌트 단위의 개발은 캡슐화의 중요성을 불러왔습니다. 하지만 CSS는 컴포넌트 기반의 방식을 위해 만들어진 적이 한 번도 없었습니다. 결국 CSS도 컴포넌트 영역으로 불러들이기 위해서 CSS-in-JS가 탄생해서 이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합니다.
CSS-in-JS에는 대표적으로 Styled-Component가 있습니다.
Styled-Component는 기능적(Functional) 혹은 상태를 가진 컴포넌트들로부터 UI를 완전히 분리해 사용할 수 있는 아주 단순한 패턴을 제공합니다.
각 CSS 방법론의 특징과 장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