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는 다음과 같다.
def solution(array, commands):
answer = []
for command in commands:
i, j, k = command[0], command[1], command[2]
slice=array[i-1:j]
slice.sort()
answer.append(slice[k-1])
return answer
1. Input
def solution(array, commands):
array는 숫자 배열
commands는 [i,j,k]를 원소로 가지는 2차원 배열array=[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
따라서 answer 배열에는 5 추가
2. Process
answer = []
answer는 배열형태로 저장된다.
for command in commands: i, j, k = command[0], command[1], command[2] slice=array[i-1:j] slice.sort()
commands 배열에서 i, j, k 추출
slice 배열에는 array[i:j]까지의 원소들이 들어간다.
slice 배열 정렬
3. Output
answer.append(slice[k-1]) return answer
answer 배열에는 slice 배열의 k-1번째 원소가 append 된다.
이상으로 포스트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