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NativeCli 환경에서 iOS 앱 배포 과정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합니다.
App identifier 생성 과정과 개발자 등록 과정은 추후에 이어서 업로드 할게요~
본 포스팅에서는 생략합니다.
먼저 xcode 를 실행해 줍니다. 그전에 제가 빌드 하고 배포하는 과정에서 거의 3시간동안 삽질한 과정부터 말씀드릴게요.
빌드까지하고 App Store Connect 에 TestFlight 에 올릴려고 했는데 갑자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떴습니다.
구글링을 하다가 다음 글을 발견하게되었습니다.. xcode 는 안정성이 확보된 최신버전을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22년 말에... iOS16이 업데이트가 되면서 Xcode 14가 릴리즈 되었습니다.!!
(요즘 iOS가 해마다 업데이트 될때 마다 그에 맞는 소프트웨어 Xcode 도 하나씩 같이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왜 iOS 개발자들이 그렇게 패치노트나 세미나를 열심히 듣는지 몰랐었는데 꼼꼼히 노트를 읽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저는
macOS 가 Monterey 였고 Ventura 13.1 로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Xcode13 에서 Xcode14 로 설치하였습니다.
글을 쓰다 보니 생각난건데
처음에 React Native 를 EXPO를 이용해 개발했었고 필요한 기능이 있어 React Native cli 환경으로 넘어오면서도 엄청난 삽질을 했었는데 이것도 나중에 다루겠습니다. ㅎㅎ
Expo 공식 홈페이지에선... 그냥 eject expo 만 터미널에 치면 된다고 했었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했죠.
우선, 배포하기에 앞서 빌드를 진행해 줍니다.
빌드는 개발하던 프로젝트 폴더의 iOS 폴더 경로로 Xcode에서 열어 주시면 됩니다.
좌측 리스트에서 프로젝트폴더(mDochome) 선택하고 상단 메뉴에서 signing & capabilities 탭 클릭
Automatically mange signing 체크, Team 체크, Bundle identifier 작성
!!Bundle identifier 생성 과정은 추후 업로드 하겠습니다.
general 탭 클릭
identity 확인
App Category - 해당하는 분류 선택
Display Name -App 이름
Bundle identifier - 애플 개발자 콘솔에서 설정
version - 빌드하려는 버전
build - 같은 버전에 해당하는 다른 빌드 생성시 1 부터 하나씩 올림
Development Info 확인
상단 메뉴바 -> Product -> Clean Build Folder
상단 메뉴바 -> Product -> Build
빌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Build Successed 뜹니다.
Any iOS Device(arm64) 클릭
Product -> Archive 클릭
완료 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빌드된 정보가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Distribute App 클릭
다음 메뉴는 화면대로 기본값으로 진행합니다
아래 화면이 뜨면 거의 성공 한 것이고 App Store Connect 에 들어가서 TestFlight 를 확인해줍니다.
파일이 처리 중으로 뜨는데 당황하지 마시고 10분 정도 시간이 지나면 올린 파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