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ount란?
리눅스에서 마운트(Mount)는 디스크, 파티션, 혹은 파일 시스템을 특정 디렉터리에 연결하는 과정입니다.
마운트된 디스크는 해당 디렉터리 아래에서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의 일부로 동작합니다.
2) 루트(/)의 역할
/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최상위 디렉터리로,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입니다.
특정 디스크(예: /dev/sda3)를 /에 마운트하면, 해당 디스크가 시스템의 기본 저장소 역할을 하며, /var, /home 등의 하위 디렉터리도 이 디스크 공간을 공유합니다.
1) 디스크 공간 관리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블록(Block) 단위로 디스크 공간을 관리합니다.
예: 블록 크기가 4KB인 경우, 1KB의 파일도 1개의 블록(4KB)을 차지.
inode는 파일 메타데이터(소유자, 권한, 블록 위치 등)를 관리하는 구조체입니다.
2) 디렉터리와 파일 저장
디렉터리는 특수한 파일로 관리되며, 하위 파일과 디렉터리 정보를 inode와 블록에 저장.
파일 생성 시:
사용 가능한 inode를 할당.
파일 크기에 따라 필요한 블록을 디스크에서 할당.
1) df -h 명령어
df -h는 현재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용량과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출력 예시: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3 200G 20G 180G 10% /
Size: 파일 시스템의 총 크기.
Used: 사용 중인 공간.
Avail: 사용 가능한 남은 공간.
Mounted on: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된 디렉터리.
2) du 명령어
특정 디렉터리의 용량 확인:
du -sh /path/to/directory
mkdir /A
/A는 /의 하위 디렉터리로, 기본적으로 / 디스크(/dev/sda3) 공간을 사용.
디스크 확인:
lsblk
예: /dev/sdb 디스크 발견.
파일 시스템 생성:
mkfs.xfs /dev/sdb1
/A 디렉터리에 마운트:
mount /dev/sdb1 /A
마운트 확인: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3 180G 20G 160G 10% /
/dev/sdb1 100G 1G 99G 1% /A
만약 새로운 디스크가 없다면, 기존 디스크에서 일부 공간을 분리:
sudo fdisk /dev/sda
기존 파티션 크기 축소.
새로운 파티션 생성 (예: /dev/sda4).
mkfs.ext4 /dev/sda4
mount /dev/sda4 /A
재부팅 후에도 마운트를 유지하려면 /etc/fstab에 추가합니다.
디스크 UUID 확인:
blkid /dev/sdb1
/etc/fstab 편집:
sudo vi /etc/fstab
추가 내용:
UUID=abc123 /A xfs defaults 0 0
설정 적용:
sudo mount -a
디스크를 특정 디렉터리에 연결하여 사용.
루트(/)에 마운트된 디스크는 하위 디렉터리가 동일한 디스크 공간을 공유.
df -h로 용량 확인:
특정 디렉터리는 기본 디스크의 용량을 사용.
별도의 디스크를 마운트하면 독립적인 저장 공간으로 사용 가능.
디렉터리 마운트 분리: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하거나 기존 디스크를 분할.
/A를 새로운 디스크로 마운트하여 독립적인 용량 관리.
영구 마운트 설정:
/etc/fstab에 디스크 UUID를 등록하여 재부팅 후에도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