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730

정현진·2021년 8월 2일
0

코딩일기

목록 보기
9/18

TIL

배열

배열기초

  • 배열은 순서가 있는 값으로, 순서는 인덱스라고 부르고, 0부터 번호를 메긴다.

    대괄호[]를 이용해서 배열을 만들고, 각각의 원소는 쉼표로 구분해주며, 값은 인덱스를 이용해 접근한다.
  • arr.length를 이용하여 길이를 알아낼 수도 있다.
  • arr.push()를 이용하여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배열끝에 추가
  • arr.pop()를 이용하여 요소를 삭제할 수 있다. 배열 마지막 값 삭제

배열의 반복

  • 반복문을 이용해 배열의 요소를 한번씩 출력하게되면,

이처럼 배열의 요소를 출력할 수 있디.

배열 기초 메소드

  • 베열인지 아닌지 판별하기 위해 Array.isArray를 이용하여 알수있다. 결과값은 True 혹은 False로 나오게 된다.
  • 배열의 뒤쪽 값을 추가해주는 arr.push()
    배열의 뒤쪽 값을 삭제하는 arr.pop()
    배열의 앞쪽 값을 추가하는 arr.unshift()
    배열의 앞쪽 값을 삭제하는 arr.shift()
  • 배열 요소 포함 여부 확인하는 방법은 indexof,includes를 이용한다.

    arr.indexOf()를 사용하여 몇번째 값에 찾는 단어가 있는지 알수있고, 없는 단어일 경우 -1로 표시되기 때문에, arr.indexOf() !== -1을 통해 값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확인할수 있다.

    있는지 없는지 여부는 arr.includes()를 이용하게 되면 바로 확인할수 있다. 다만, Internet Explorer에서 호환하지 않는 함수이다.

객체

  • 객체의 구조

    객체는 키와 값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괄호{}를 이용하여 객체를 만들고, 키-값 쌍은 쉼표로 구분하여 준다.

  • 객체의 값을 사용하는 방법1 : Dot(.) notation

    	user.firstName; // 'steve'
    	user.city; // 'seoul'
  • 값을 사용하는 방법2 : Bracket notation => 키를 문자열('')로 넣어줘야한다.

    	user['firstName']; // 'steve'
    	user['city']; // 'seoul'
    • 키값이 변할때, Dot notation을 사용하면 안되고, Bracket notation을 사용해야한다.
  • delete키워드를 이용하여 키-값 쌍을 지울 수 있다.

  • in연산자를 이용해 해당하는 키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배열과 객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순서의 유무이다. 배열의 요소에 0부터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객체는 속성에 순서대로 접근하지 않고, key를 통해서 value에 접근한다.

    A를 보게 되면, for in 구문을 통해 객체의 모든 Key에 접근하고 출력할수있다.
    반면, B를 보게 되면, for of는 string과 array, 유사배열 등에서 사용이 가능한 반복문이다. 여기서 for (let arr[i] of arr)는 for (let i = 0; i < arr.length; i += 1) 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Tomorrow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