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hievement Goals(Pre.2) - 타입(Type)

HJ's Coding Journey·2021년 2월 2일
0

<타입 이해도 체크>

1) 자바스크립트에서 원시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원시 자료형은 변수안에 한가지 값이 그대로 할당이 되는 경우이다. 원시 자료형에 해당하는 값 종류는 number, string, boolean, undefined, null 정도가 대표적이며 추가적으로 symbol 과 bigint 까지 포함된다.

참조 자료형은 변수안에 여러가지의 값이 하나의 주소에 담겨져있으면서 그 주소를 변수에 할당이 되는 경우이다. 참조 자료형 종류는 array, object, function이 해당된다.

2) 원시 자료형 string, number, boolean, undefined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string: 문자열을 표현하는 원시 자료형
number: 숫자를 표현하는 원시 자료형
boolean: 참/거짓을 판별하는 결과로 나타내는 원시 자료형
undefined: 값이 정의되지 않은 원시 자료형

// string
let str = 'hello world';

// number
let num = 7;

// boolean
let isTrue = true;
let isFalse = false;

// undefined;
let noValue = //no value

3) 타입마다 다른 속성과 메소드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타입의 속성마다 사용되는 메소드가 다르다. string을 표현하는 경우 반드시 따옴표('', "")로 감싸줘야 문자열로 인식한다. 또한, 여러가지 문자열을 연산하면 하나의 합쳐진 문자열이 된다. number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숫자로 표현되며 여러가지 연산이 가능하다. boolean

4) typeof 를 활용하여 특정 값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typeof 를 통해 어떠한 값이 들어있는 변수의 타입을 알아볼 수 있다.

let str = 'hello world';
typeof(str); // string

let num = 7;
typeof(num); // number

let isTrue = true;
let isFalse = false;
typeof(isTrue); // boolean
typeof(isFalse); // boolean

5) 비교 시 엄밀한 비교( === 과 !== )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 은 할당의 의미를 가지게되지만 '===' 과 '!===' 은 수학적 의미를 가진다. '==='은 두가지의 값이 비슷할때 사용하고 '!==' 반대로 값이 같지않을때 사용한다. 또한, 이 두가지 표현을 사용해야 값을 혼동하지 않고 엄격하게 비교해준다.

profile
Improving Everyda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