멤버변수 초기화 방식

heeezni·2025년 5월 14일
0

Java 문법

목록 보기
9/14

Java - 객체 멤버변수 초기화 방식

초기화 방식설명예시특징
1-①. 외부 직접 대입객체 생성 후 외부에서 멤버변수에 직접 값 대입d.color = "노란색";간단하고 직관적, 자주 사용
1-②. 내부 직접 대입변수 선언과 동시에 초기값 지정public String color = "노란색";
2. 생성자 내부 초기화생성자 안에서 직접 값 대입color = "노란색";객체 생성 시 자동으로 값 부여
3. 매개변수 생성자 초기화생성자 매개변수로 받아 초기화this.color = color;다양한 객체 생성 가능, 유연성 ↑

1️⃣-① 외부 직접 대입

public class Duck {
    public String color;
}
public class UseDuck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args){
    Duck d = new Duck();
	d.color = "노란색";
    }
}

1️⃣-② 내부 직접 대입

public class Duck {
    public String color = "노란색";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

2️⃣ 생성자 내부 초기화

public class Duck {
    public String color;
//생성자 내부에서 멤버변수 초기화
    public Duck() {
        color = "노란색"; // this 없이도 가능 (멤버변수에 접근)
        //또는
        this.color = "노란색";	// 같은 의미지만, 명확하게 "멤버변수"라는 걸 표현 (선택)

    }
}

3️⃣ 매개변수 생성자

//매개변수 생성자 내부에서 초기화
	public Duck(String color) {
    	this.color = color;
	}
}

//사용
Duck d = new Duck("하얀색");
System.out.println(d.color); // 하얀색

💬 this.color = color; 이게 뭐야?
멤버변수 color와 매개변수 color의 이름이 같을 때,
앞에 this.를 붙이면 "멤버변수"를 가리킨다는 뜻

profile
아이들의 가능성을 믿었던 마음 그대로, 이제는 나의 가능성을 믿고 나아가는 중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