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으로 시작한 하루였다.

최초 키워드로 set 해주기최초 키워드와 이동한 url 의 본문 내용을 같이 server 로 보내 유사도를 검사해야함.이걸 내일까지 다 해오라고 하신다...😭😭😭😭
할게 너무 많으면 압도당하기 쉽다.
침착하게, 우선, input 과 bodyText를 같이 보내보자.
input 은 이미 주고받아봤으니, bodyText 를 같이 보내는 방법을 찾아보자.
background storage 란?
백그라운드 로컬스토리지의 경우 유저가 chrome://extensions 에 접속해 직접 지우거나 확장 프로그램을 지우지 않는 이상 지워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반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싶은 정보가 있거나 서버 작업을 하지 않고 간단한 테스트를 하고 싶다면 백그라운드 로컬스토리지를 쓰는 것도 방법입니다.
tabs.sendMessage() 과 runtime.sendMessage()
One-time requests!

runtime.connect() 와 tabs.connect()
Long-lived connections!
새롭게 알게 된 사실...
페이지 스크롤을 얼만큼 했느냐에 따라서.. bodyText의 분량이 달라진다..ㅠㅠ

흠... service_worker 가 없으면 구동이 안되는건가?
참고로 다른 익스텐션 파일 구조를 살펴봤다.

여기서는 manifest.json 에 "background" 가 없다.
대신 html 에서 script src 로 logic.js 를 참조할 뿐이다.

chrome_url_overrides 라는 것도 있구나..
안의 속성은 이 중에서 쓸 수 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이렇게 변경해보았다.


흠... 이건 또.. 무슨 문제일까^^


노출되는 리소스와 출처를 선언합니다. 이 속성은 리소스 액세스 규칙을 선언하는 개체의 배열입니다. 각 개체는 확장 리소스 배열을 해당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L 및/또는 확장 ID 배열에 매핑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수정.

흠... 안되네....
챗 지피티의 도움으로

이렇게 코드를 수정하고 다시 하니..?
된다 ㅎ 챗 지피티 만세...ㅜㅜ
다른 코드 부분을 수정하려니 너무 헷갈려서.. 일단 혹시 참고할 만한 익스텐션이 없을지 좀 살펴봤다.


manifest version 3으로 된건 잘 없다..

Tab Tree 찾았다!!!
소스코드를 다운 받아서 구조를 좀 살펴봐야겠다.

헤매기만 했네....
근데 체력이 바닥나서 밤을 지샐수가 없다..
머리도 안돌아간다..
일단 푹 자고.. 내일 일어나서,
1. 익스텐션용 FastAPI 서버를 만들고,
2. 전달받은 데이터를 유사도 분석을 할 수 있는 router 를 기능별로 만들어서 돌려보자.
수고했다 오늘도.. 나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