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클라우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기회

한강섭·2025년 6월 6일
0

금융 IT

목록 보기
3/8
post-thumbnail

금융업 세미나 (삼성SDS)를 통해 금융 클라우드의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금융 클라우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기회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사유

원래 금융권은 망분리 때문에 클라우드 사용이 되게 어려운 환경이다. 하지만 비용절감, AI도입, Agility 를 확보하기 위해서 금융권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막대한 1회성 투자와 유지관리 비용을 어떻게 구독형 서비스로 효율화할 수 있을까?
고객이 언제 유입될 지 모르는 상황에 IT적인 Agility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 클라우드 서비스!


금융권의 클라우드 활용 필요성

  1. 혁신과 경쟁력 확보 - AI와 최신 기술을 빠르게 도입
  2. 고객 경험 개선 - 맞춤형 금융 서비스,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
  3. 비즈니스 연속성 -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장애 및 재해 시 빠른 복구
  4. 내부 운영 효율화 - 표준화 및 자동화된 인프라, IT인프라 운영 비용 절감
  5. 보안과 규제 준수 - 모든 Access와 변경에 대한 기록 및 추적, 표준화된 보안환경

어떻게 클라우드를 사용하면서 보안과 규제를 준수할 수 있을까??


금융권에서 AI를 활용하기 위한 고민

  1. AI 인프라 구축 : 망분리 규제 단계적 개선과 금융권 클라우드 기반의 구독형(SaaS) 생성형 AI 활용
  2. 데이터 지원 : 개인정보 보호 규제로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의 확보와 활용 어려움
  3. 신뢰도 확보 : 윤리, 환각 현상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설명 가능한 AI' 기술 필요

AI의 활성화와 안전한 활용 지원


금융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클라우드 요소

생성형 AI 인프라

  • SCP GPUaas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 AI Pool 구축 Use case
    표준화된 아키텍처와 운영방식, 보안정책

Private Cloud

  • SCP On-site 오퍼링
    물리적으로 분리된 전용 클라우드

보안과 안정성

  • 금융 특화 보안 구성
    금융보안원 주관 전항목 CSP 안전성 평가 충족 및 국내외 다수의 보안 인증 보유

SCP의 금융 특화 오퍼링

  1. Landing Zone Service - 표준화된 안전한 클라우드 환경 제공
  2. DaaS - 업무 환경 편의성 증대
  3. 금융 전용 Oracle Service - Oracle 기반 워크로드 지원

Oracle은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에게 Oracle의 클라우드 라이센스를 완전히 오픈하지 않는데 Oracle의 완전한 사용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
삼성 SDS는 오라클의 OCI와 제휴하여 데이터를 완전히 가져왔다.

  1. Cloud WAN - 글로벌 가상 백본망 제공
  2. DRaaS - 업무 중요도별 DR 서비스 구성 (재해복구 아키텍처)
  3. 3 Zone 구성 - 고대역폭(100G) DCI 구성

금융권에서 DR은 모두 구성하고 있을 것인데 DR은 평상시에 운영되지 않은데도, 서버나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1회성 투자를 해야하고 유지보수를 해야한다..

그래서 DR같은 부분을 클라우드로 바꾼다면 평상시 꺼둔다면 과금이 안되고 재해가 났을 때 클라우드 서비스로 복구한다면 비용절감에 도움이 많이 된다!


결론

금융권은 규정에 따라 인터넷맛을 물리적으로 분리시켜놓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에 대해 굉장히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비용절감, AI도입, Agility 확보등 이제는 디지털 혁신을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클라우드에 대한 투자와 노력을 쏟아야 한다.

profile
기록하고 공유하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