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알게 된 시험내용

한강섭·2025년 2월 4일
1

숙제

목록 보기
19/25
post-thumbnail

마지막 총 정리에서 확인할 것들


var 타입 로컬 변수로만 사용되면 할당까지 같이 진행되어야 한다.
제네릭에서 아무것도 선언이 안되었다면 Object로 판단!


String에서 리터럴, new 각각의 선언한 것의 차이점
equal은 내용이 같나요? vs == 같은 객체인가요?


String str = """ ~~ """.formatted(~~); 이렇게 한문자열로 표현 가능


Interger의 MAX_VALUE 에 +1 한 값은 -2147483648


float 연산 0.9 vs double 연산 0.8999999


byte b3 = b1 + b2 하면 오류남 int형으로 자동 변환되서 계산함
그래서 byte b3 = (byte) (b1+b2) 이렇게 해줘야 함


연산을 할때 더 큰 타입으로 결과값을 받아야 함
double = double + float, long = long + int


| vs || 차이 앞에거가 true일때 |는 뒤에거 연산 || 연산 안함


예외처리에서 finally는 자원을 회수할 때 사용하고 무조건 실행된다.


switch 문에서는 default문의 위치는 사실 상관없음!
그리고 break없으면 흘러내린다!


set과 map은 중복이 안된다 순서가 없어서
그런데 차이점은 set은 중복된 값이 들어오면 들어온 것이 처리 안되고
map은 기존에 있던 것이 교체된다.


TreeSet은 순서가 있음!


instanceof 힙 영역에 있는 객체의 실제 타입을 검사하는 용도
객체가 해당 클래스 또는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면 true 아니면 false
정리하면 검사한것이 자신과 부모 클래스를 포함한 인스턴스인지!


업캐스팅 - 부모 변수를 자식 클래스로 생성 new
다운캐스팅 - 강제형변환 부모클래스를 자식클래스로! 이때 안전하게 하기위해서 instanceof를 사용!


클래스는 implements 인터페이스 여러개 가능!
인터페이스는 extends 인터페이스 여러개 가능 (다중 상속)


Throwable은 클래스! 인터페이스 아님! (원래 able은 인터페이스)


Unchecked 보다 checked가 빡센거 throws 필요함!


super(); 부모 생성자를 가장 먼저 호출 해야함!
부모 클래스에 기본 생성자가 없으면 명시적으로 super(값)을 호출해야 함!


profile
2025년 1년동안 기록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