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C에서는 로드밸런서가 서버에 직접 서버를 바인딩하는 것이아니라 Target Group이라는 서버에 그룹을 만들고 그 다음에 Target Group을 바인딩
그래서 로드밸런서를 생성하기 전에 Target Group을 만들어 주어야 함
Target Group 생성
네트워크 LB이기 때문에 TCP protocol 선택
Health Check 설정 : 실제로 이 Target Group에 있는 서버들이 정상인지 정상이 아닌지를 체크하기 위한 것


Application LB에 대한 Target Group도 생성
어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 이기때문에 HTTP를 선택
Application LB에 대한 Heath Check 설정


ALB에서 특정 디렉토리에 대해서는 다른 서버가 바인딩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새로운 Target Group 생성


네트워크 로드밸런서 생성


접속정보 이용해 접속 시도

접속 확인

log 확인
(네트워크 로드밸런서의 특징이 실제 IP가 찍힘)
어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 생성


접속 확인
로그 확인
IP 확인 및 비교하기

IP 디렉토리를 위해서 리눅스 서버 1번에서만 처리하도록 해보자.
리스너 설정 변경
규칙 조회 및 변경
여기에서

이렇게 변경 : 이 IP에 대해서는 반드시 서버 1번에서만 받을 수 있게 됨
로드밸런서 IP가 찍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IP를 찍어내기 위해서 설정


LogFormat 찾아보기


Apache 재가동
ALB에서 접근하게 되면 서버의 로그는?
실제 IP가 찍히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