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처리 - 12 (텍스트 전처리 - 정규 표현식)

hoegon kim·2022년 10월 11일
0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정규 표현식

텍스트 전처리에서 정규 표현식은 아주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번에는 파이썬에서 지원하고 있는 정규 표현식 모듈 re의 사용방법과 NLTK를 통한 정규 표현식을 이용한 토큰화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정규 표현식 문법과 모듈 함수

파이썬에서는 정규 표현식 모듈 re을 지원하므로, 이를 이용하면 특정 규칙이 있는 텍스트 데이터를 빠르게 정제할 수 있습니다. 정규 표현식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 문자와 모듈 함수에 대해서 표를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표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표 아래의 실습과 표를 병행하여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정규 표현식 문법

정규 표현식을 위해 사용되는 문법중 특수 문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정규 표현식 문법에는 역 슬래쉬()를 이용하여 자주 쓰이는 문자 규칙들이 있습니다.

2) 정규표현식 모듈 함수

정규표현식 모듈에서 지원하는 함수는 이와 같습니다.

앞으로 진행될 실습에서 re.compile()에 정규 표현식을 컴파일하고, re.search()를 통해서 해당 정규 표현식이 입력 텍스트와 매치되는지를 확인하면서 각 정규표현식에 대해서 이해해보겠습니다. re.search()는 매치된다면 Match Object를 리턴하고 매치되지 않으면 아무런 값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2.정규 표현식 실습

앞서 표로 봤던 정규 표현식을 예시를 통해 이해해보겠습니다.

import re

1) .기호

.은 한개의 임의의 문자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서 정규 표현식이 a.c라고합시다. a와 c사이에는 어떤 1개의 문자로도 올 수 있습니다. akc, azc, avc, a5c, a!c와 같은 형태는 모두 a.c의 정규 표현식과 매치됩니다.

r = re.compile("a.c")
r.search("kkk")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a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3), match='abc'>  

.은 어떤 문자로도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abc라는 문자열은 a.c라는 정규 표현식 패턴으로 매치됩니다.

2) ?기호

?는 ?앞의 문자가 존재할 수 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서 정규표현식이 ab?c라고 합시다. 이 경우 이 정규 표현식에서의 b는 있다고 취급할 수도 있고, 없다고 취급할 수도 있습니다. 즉, abc와 ac모두 매치할 수 있습니다.

r = re.compile("ab?c")
r.search("abbc")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a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3), match='abc'>  
b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abc를 매치했습니다.

r.search("ac")
<_sre.SRE_Match object; span=(0, 2), match='ac'>  
b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ac를 매치했습니다.

3) *기호

* 은 바로 앞의 문자가 0개 이상일 경우를 나타냅니다. 앞의 문자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는 여러 개일 수도 있습니다. 정규 표현식이 ab*c라면 ac, abc, abbc, abbbc등과 매치할 수 있으며 b의 개수는 무수히 많을 수 있습니다.

r = re.compile("ab*c")
r.search("a")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ac")
<_sre.SRE_Match object; span=(0, 2), match='ac'>  
r.search("a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3), match='abc'> 
r.search("abbb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6), match='abbbbc'> 

4) +기호

+는 * 와 유사합니다. 다른 점은 앞의 문자가 최소 1개 이상이어야 합니다. 정규 표현식 ab+c 라고 한다면 ac는 매치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abc, abbc, abbbc 등과 매치할 수 있으며 b의 개수는 무수히 많을 수 있습니다.

r = re.compile("ab+c")
r.search("ac")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a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3), match='abc'>   
r.search("abbb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6), match='abbbbc'>  

5) ^기호

^는 시작되는 문자열을 지정합니다. 정규표현식이 ^ab라면 문자열 ab로 시작되는 경우 매치합니다.

r = re.compile("^ab")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bbc")
r.search("zab")
r.search("abz")
<re.Match object; span=(0, 2), match='ab'>

6) {숫자} 기호

문자에 해당 기호를 붙이면, 해당 문자를 숫자만큼 반복한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서 정규 표현식이 ab{2}c라면 a와 c사이에 b가 존재하면서 b가 2개인 문자열에 대해서 매치합니다.

r = re.compile("ab{2}c")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ac")
r.search("abc")
r.search("abbbbbc")
r.search("ab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4), match='abbc'>

7) {숫자1, 숫자2} 기호 (범위)

문자에 해당 기호를 붙이면, 해당 문자를 숫자1 이상 숫자2 이하만큼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서 정규 표현식이 ab{2,8}c라면 a와 c사이에 b가 존재하면서 b는 2개 이상 8개 이하인 문자열에 대해서 매치합니다.

r = re.compile("ab{2,8}c")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ac")
r.search("abc")
r.search("abbbbbbbbbc")
r.search("ab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4), match='abbc'>
r.search("abbbbbbb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10), match='abbbbbbbbc'>

8) {숫자,}기호

문자에 해당 기호를 붙이면 해당 문자를 숫자 이상 만큼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서 정규 표현식이 a{2,}bc라면 뒤에 bc가 붙으면서 a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인 문자열과 매치합니다. 또한 만약{0,}을 쓴다면 * 와 동일한 의미가 되며, {1,}을 쓴다면 +와 동일한 의미가 됩니다.

r = re.compile("a{2,}bc")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bc")
r.search("aa")
r.search("aa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4), match='aabc'>
r.search("aaaaaaaa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10), match='aaaaaaaabc'> 

9) []기호 숫자이외의 문자로 범위 지정하기

[]안에 문자들을 넣으면 그 문자들 중 한개의 문자와 매치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서 정규 표현식이 [abc]라면, a또는 b또는 c가 들어가있는 문자열과 매치됩니다. 범위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a-zA-z]는 알파벳 전부를 의미하며, [0-9]는 숫자 전부를 의미합니다.

r = re.compile("[abc]") # [abc]는 [a-c]와 같다.
r.search("zzz")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a")
<_sre.SRE_Match object; span=(0, 1), match='a'> 
r.search("aaaaaaa")                                                                                               
<_sre.SRE_Match object; span=(0, 1), match='a'> 
r.search("baac")      
<_sre.SRE_Match object; span=(0, 1), match='b'>

이번에는 알파벳 소문자에 대해서 범위 지정하여 정규 표현식을 만들어보고 문자열과 매치해보겠습니다.

소문자 범위
r = re.compile("[a-z]")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 대문자 범위 없음
r.search("AAA")

# 숫자 범위 없음
r.search("111") 


r.search("aBC")
<_sre.SRE_Match object; span=(0, 1), match='a'>

10) [^문자] 기호

[^문자]는 ^기호 뒤에 붙은 문자들을 제외한 모든 문자를 매치하는 역활을 합니다. 예를 들어서[^abc]라는 정규 표현식이 있다면, a 또는 b또는 c가 들어간 문자열을 제외한 모든 문자열을 매치합니다.

r = re.compile("[^abc]")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r.search("a")
r.search("ab") 
r.search("b")

# abc 제외하고 다른 문자 모두
r.search("d")
<_sre.SRE_Match object; span=(0, 1), match='d'> 

# abc 제외하고 숫자도 포함됨
r.search("1")
<_sre.SRE_Match object; span=(0, 1), match='1'> 

3. 정규 표현식 모듈 함수 예제

앞서 re.compile() 과 re.search()를 사용해보았습니다. 다른 정규 표현식 모듈 함수에 대해서 실습을 진행해보겠습니다.

1) re.match() 와 re.search()의 차이

search()가 정규 표현식 전체에 대해서 문자열이 매치하는지를 본다면, match()는 문자열의 첫 부분부터 정규 표현식과 매치하는지를 확인합니다. 문자열 중간에 찾을 패턴이 있더라도 match 함수는 문자열의 시작에서 패턴이 일치하지 않으면 찾지 않습니다.

r = re.compile("ab.")

# 매치는 오른쪽 왼쪽 이렇게 구분
r.match("kkkabc") #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는다.

# 서치는 양옆에 모두 
r.search("kkkabc")  
<_sre.SRE_Match object; span=(3, 6), match='abc'>   

# 매치가 오른쪽일때 .기준점이 오른쪽에 해당하니 불러옴
r.match("abckkk")  
<_sre.SRE_Match object; span=(0, 3), match='abc'>  

위 경우 정규 표현식이 ab. 이기때문에, ab 다음에는 어떤 한 굴자가 존재할 수 있다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search 모듈 함수에 kkkabc라는 문자열을 넣어 매치되는지 확인한다면 abc라는 문자열에서 매치되어 Match object를 리턴합니다. 하지만 match 모듈 함수의 경우 앞 부분이 ab.와 매치되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abckkk로 매치를 시도해보면, 시작 부분에서 패턴과 매치되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Match object를 리턴합니다.

2) re.split()

split() 함수는 입력된 정규 표현식을 기준으로 문자열들을 분리하여 리스트로 리턴합니다. 토큰화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 분리를 수행하고 결과로서 리스트를 리턴해봅시다.

# 공백 기준 분리
text = "사과 딸기 수박 메론 바나나"
re.split(" ", text)
['사과', '딸기', '수박', '메론', '바나나']  

이와 유사하게 줄바꿈이나 다른 정규 표현식을 기준으로 텍스트를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 줄바꿈 기준 분리
text = """사과
딸기
수박
메론
바나나"""

re.split("\n", text)
['사과', '딸기', '수박', '메론', '바나나']  
# '+'를 기준으로 분리
text = "사과+딸기+수박+메론+바나나"

re.split("\+", text)
['사과', '딸기', '수박', '메론', '바나나'] 

3) re.findall()

findall()함수는 정규 표현식과 매치되는 모든 모자열들을 리스트로 리턴합니다. 단, 매치되는 문자열이 없다면 빈 리스트를 리턴합니다. 임의의 텍스트에 정규 표현식으로 숫자를 의미하는 규칙으로 findall()을 수행하면 전체 텍스트로부터 숫자만 찾아내서 리스트로 리턴합니다.

text = """이름 : 김철수
전화번호 : 010 - 1234 - 1234
나이 : 30
성별 : 남"""

re.findall("\d+", text)
['010', '1234', '1234', '30']

하지만 만약 입력 텍스트에 숫자가 없다면 빈 리스트를 리턴하게 됩니다.

re.findall("\d+", "문자열입니다.")
[]

4) re.sub()

sub() 함수는 정규 표현식 패턴과 일치하는 문자열을 찾아 다른 문자열로 대체할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정제 작업에 많이 사용되는데, 영어 문장에 각주 등과 같은 이유로 특수 문자가 섞여있는 경우에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싶다면 알파벳외의 문자는 공백으로 처리하는 등의 용도로 쓸 수 있습니다.

text = "Regular expression : A regular expression, regex or regexp[1] (sometimes called a rational expression)[2][3] i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nd formal language theory, a sequence of characters that define a search pattern."

preprocessed_text = re.sub('[^a-zA-Z]', ' ', text)
print(preprocessed_text)

'Regular expression   A regular expression  regex or regexp     
sometimes called a rational expression  i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nd formal language theory  a sequence of characters that define a search pattern '  

4. 정규 표현식 텍스트 전처리 예제

다음과 같은 임의의 텍스트가 있다고 해봅시다.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텍스트에 저장하였습니다.

text = """100 John    PROF
101 James   STUD
102 Mac   STUD"""

'\s+'는 공백을 찾아내는 정규표현식입니다. 뒤에 붙는 +는 최소 1개 이상의 패턴을 찾아낸다는 의미입니다. s는 공백을 의미하기 때문에 최소 1개 이상의 공백인 패턴을 찾아냅니다. split은 주어진 정규표현식을 기준으로 분리하므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re.split('\s+', text)  
['100', 'John', 'PROF', '101', 'James', 'STUD', '102', 'Mac', 'STUD']

공백을 기준으로 값이 구분되었습니다. 해당 입력으로부터 숫자만을 뽑아온다고 해봅시다. 여기서 \d는 숫자에 해당되는 정규표현식입니다.
+를 붙이면 최소 1개이상의 숫자에 해당하는 값을 의미합니다. findall()은 해당 표현식에 일치하는 값을 찾아냅니다.

re.findall('\d+',text)  
['100', '101', '102]

이번에는 텍스트로부터 대문자인 행의 값만 가져와봅시다. 이 경우 표현식에 대문자를 기준으로 매치시키면 됩니다. 하지만 정규 표현식에 대문자라는 기준만을 넣을 경우에는 문자열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모든 대문자 각각을 갖고 오게 됩니다.

re.findall('[A-Z]',text)
['J', 'P', 'R', 'O', 'F', 'J', 'S', 'T', 'U', 'D', 'M', 'S', 'T', 'U', 'D']

대문자가 연속적으로 네 번 등장하는 경우라는 조건을 추가해봅시다.

re.findall('[A-Z]{4}',text)  
['PROF', 'STUD', 'STUD']

대문자로 구성된 문자열들을 가져옵니다. 이름의 경우에는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상황입니다. 이름에 대한 행의 값을 갖고오고 싶다면 처음에 대문자가 등장한 후에 소문자가 여러번 등장하는 경우에 매치하게 합니다.

re.findall('[A-Z][a-z]+',text)
['John', 'James', 'Mac'] 

5. 정규 표현식을 이용한 토큰화

NLTK에서는 정규 표현식을 사용해서 단어 토큰화를 수행하는 RegexpTokenizer를 지원합니다. RegexpTokenizer()에서 괄호 안에 하나의 토큰으로 규정하기를 원하는 정규 표현식을 넣어서 토큰화를 수행합니다. tokenizer1에 사용한 \w+는 문자 또는 숫자가 1개 이상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tokenizer2에서는 공백을 기준으로 토큰화하도록 했습니다. gaps=true는 해당 정규 표현식을 토큰으로 나누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gaps=True라는 부분을 기재하지 않는다면, 토큰화의 결과는 공백들만 나오게 됩니다. tokenizer2의 결과는 위의 tokenizer1의 결과와는 달리 아포스트로피나 온점을 제외하지 않고 토큰화가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om nltk.tokenize import RegexpTokenizer

text = "Don't be fooled by the dark sounding name, Mr. Jone's Orphanage is as cheery as cheery goes for a pastry shop"

tokenizer1 = RegexpTokenizer("[\w]+")

tokenizer2 = RegexpTokenizer("\s+", gaps=True)

print(tokenizer1.tokenize(text))
['Don', 't', 'be', 'fooled', 'by', 'the', 'dark', 'sounding', 'name', 'Mr', 'Jone', 's', 'Orphanage', 'is', 'as', 'cheery', 'as', 'cheery', 'goes', 'for', 'a', 'pastry', 'shop']

print(tokenizer2.tokenize(text))
["Don't", 'be', 'fooled', 'by', 'the', 'dark', 'sounding', 'name,', 'Mr.', "Jone's", 'Orphanage', 'is', 'as', 'cheery', 'as', 'cheery', 'goes', 'for', 'a', 'pastry', 'shop']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